사각턱…사각턱의 원인 '씹는 힘을 줄이자'
사각턱…사각턱의 원인 '씹는 힘을 줄이자'
  • 거제신문
  • 승인 2012.0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준호 고현향기로운치과 원장

50세 쯤 되면 치아 대부분 많이 닳아…뿌리 금 가면 통증 지속, 결국 뽑아야

이준호 고현향기로운치과 원장
테니스 선수의 오른쪽 팔뚝(왼손잡이면 왼쪽 팔뚝)을 보신 적이 있나요? 굳이 선수가 아니어도 테니스를 오래 치신 분들의 양쪽 팔뚝을 비교해보면 확실한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한 쪽이 다른 쪽의 두 배쯤 되어 보일겁니다. 쓰면 쓸수록 근육이 굵어지고 힘이 세어지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음식을 씹는데 쓰이는 근육 중 가장 굵은 것이 교근인데, 교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쓰면 쓸수록 굵어집니다. 40~50대 한국 남성을 보면 얼굴이 사각인 경우가 많은데, 그 분들의 젊은 시절 사진을 보면 하나같이 갸름하고 날렵한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20대 이후 20~30년간 턱근육을 잘 사용하셨다는 얘기입니다. 한국 사회에는 각종 술자리가 많은데 세꼬시, 오징어 등의 술안주가 사각턱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네모얼굴이 보기 싫은 것은 둘째치고, 사각턱은 치아 및 구강 건강의 적입니다. 치아는 서로 맞부딪히며 음식물을 분쇄시키는데, 만12세 이후부터는 평생 동안 한 벌의 치아가 그 역할을 담당합니다. 50세 쯤 되면, 그러니까 40년간 기능한 치아를 보면 대부분 많이 닳아 있으며, 여기 저기에 금이 가있습니다.

특히 심하신 분들은 치아의 일부분이 깨져 있기도 합니다. 단지 찌릿한 증상이나 시린 증상이 없어서 모르고 지낼 뿐이지요. 동일한 50대지만 얼굴이 갸름하신 분을 보면 치아도 깨끗한 경우가 많습니다. 세월의 흔적을 따라 닳긴 하지만, 그 정도가 약하지요.

▲ 50대 환자의 치아. 금이 가고 깨져있는 전형적인 상태다. 결국 크라운 치료를 했다.
크라운(금니) 치료로 금가거나 깨진 치아를 복구시킬 수 있습니다. 단, 안 좋은 상태를 다소 좋게 만든 것이지 완전 무결한 새로운 치아를 만드는 것이 아님을 아셔야 합니다.

크라운을 하더라도 교합력이 그대로라면, 크라운 내면의 뿌리 부분에 금이 갈 수 있습니다.

크라운을 하고나서 몇 년 지나지 않아 이를 뽑게 되는 경우가 제법 많은데, 상당수는 과도한 교합력으로 인해 뿌리에 금이 간 것 때문입니다. 치아 뿌리에 금이 가면 통증이 지속되며, 이를 뽑기 전에는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를 잘 닦자'라는 말은 당연히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제는 '씹는 힘을 줄이자 혹은 질긴 음식을 줄이자'는 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젊어서는 잘 모르고 지나치는 일이 나이 들어서 한꺼번에 닥치는데, 그러면 꽤 힘들게 해결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의 작은 생활 습관이 미래의 나를 바꿉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