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 하구둑에서 유출되는 부유쓰레기의 36%가 거제지역 연안으로 흘러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로 인한 지역 관광산업 피해액은 최소 50억원에서 최대 130억원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거제시는 지난 18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낙동강 해양쓰레기 유입 경로 실태조사 및 대처방안 제1차 중간용역보고회를 갖고 용역사의 보고를 받았다.
이날 보고회는 용역사인 (사)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이하 오션)과 (주)지오시스템 리서치(이하 지오) 관계자가 참석해 낙동강 쓰레기 유입경로 조사 및 거제연안 피해실태, 보상지원 방안, 입자추적 실험 등의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오션 관계자는 "지난해 7월9일 낙동강 하구둑 수문개방으로 인해 발생한 해양쓰레기로 지역 수산업이 받은 피해를 금액으로 환산한 결과 8억2,000여만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번 금액은 2010년 어선어업 및 마을어업 평년 매출액과 2011년 피해 어촌계 비율, 조업 중단 일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지난해 지역 연안으로 밀려든 해양쓰레기가 해수욕객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추정해 지역 관광산업 피해 규모를 산정해 보면 최소 50억원에서 최대 130억원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면서 "펜션이용 등 숙박비용을 고려할 경우 피해비용은 훨씬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낙동강 수계범위 조정, 낙동강 쓰레기 비용분담 협약 개선, 재해쓰레기 예산 지원 등을 내놨다.
용역사의 보고가 끝나자 참석자들의 지적과 요구사항이 이어졌다.
박장섭 시의원은 "해저쓰레기와 낙동강 하구언 바닥에 쌓여 있던 해저 퇴적물로 인한 피해 조사가 전무하다"면서 "거가대교 건설 당시 해양피해액을 산정하는 용역을 수행하면서 40~50억원의 사업비가 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6,000여만원의 용역비로 제대로 된 용역을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육상에서 먼저 쓰레기를 처리하면 적은 예산으로도 해상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면서 "실질적인 조사를 통해 보다 올바른 용역결과를 도출해 달라"고 요구했다.
전기풍 시의원은 "올해 낙동강 하구언이 수문을 연 뒤 테스트를 한 적이 있느냐"고 묻고 "침적쓰레기 문제가 더욱 심각한 만큼 최종 보고서에는 이 부분을 꼭 다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임생 시의회 산건위원장은 "낙동강 하구언의 수문관리 방안과 육지부 지자체의 쓰레기 선 처리 방안을 집중 검토해 재발방지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뤄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용역사는 "낙동강 하구 해양쓰레기 발생 저감을 위해서는 강 상류지역에서 우선적으로 수거하는 방안이 가장 타당하다"면서 "수문관리의 경우 수자원공사의 미온적 대처가 가장 큰 문제점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거제신문은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4대강 사업 후 낙동강 쓰레기의 해양 유입상황을 집중 취재·보도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