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평화공원' 공청회, 입장 차이만 확인
'호국평화공원' 공청회, 입장 차이만 확인
  • 김창민 수습기자
  • 승인 2012.0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헌 교수, 전문가 집단 대책추진위 구성 제안…몸싸움도

▲'장승포호국평화공원조성' 시민 공청회에 참석한 6명의 패널이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있다. 그러나 각자의 입장 차이만 확인했을 뿐 별다른 성과물은 내놓지 못했다.

거제시를 비롯해 거제시의회,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가 지난 25일 오후 2시 거제문화예술회관 소극장에서 '장승포호국평화공원조성' 추진 관련 시민 공청회를 열었다.

100여명의 장승포 주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린 이번 공청회는 지난 2일 시의회에서 의결 보류된 장승포호국평화공원조성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거제대학교 이헌 교수가 진행한 공청회에는 김두환·한기수 시의원과 김현규 관광과장, 경실련 김용운 집행위원장, 시민단체연대협의회 박동철 공동대표, 장승포동 주민자치위원회 김경진 위원 등 6명이 패널로 나섰다.

먼저 이헌 교수는 호국평화공원의 타당성과 경제성, 빅토리호 인수문제, 사업명칭과 장소 변경 가능 여부, 예산 문제, 사업의 미래지향적 컨셉에 따른 장승포 발전 방향 등에 대해 구체적 의견들을 나눠보자고 제안했다.

이에 김두환 의원은 "공공시설 설치 동의안은 해당부지 매입을 위한 절차로, 이것이 보류된다면 부지매입 자체가 불가능해 사전절차 미이행으로 경남도와 정부에서 사업비 지원자체가 되지 않을 사안"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또다시 의결 보류된다면 사업시기가 1년이상 미뤄짐으로써 도 모자이크 사업시기와 너무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사업 추진 자체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며 조속히 사업을 추진할 것을 주장했다.

반면 한기수 의원은 "이 안건은 시의원 15명 중 8명이 반대해 부결된 것"이라며 "이 사업은 반드시 해야 하는 사업이지만 왜 부결됐는지 사업의 절차적 문제나 수익성 문제를 착실하게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사업을 진행하기만 해서 무조건 다 되는 것은 아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장승포동 주민자치위원회 김경진 위원은 "이 사업의 수익성을 단순히 수의 문제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17년간 침체의 늪에 빠진 장승포 주민의 입장에서 접근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거제시청 김현규 관광과장은 "시민에게 사업에 대한 사전설명이 부족해 절차적으로도 문제 삼을 만하다는 건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시민들도 결국 원하는 것은 장승포를 살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장승포 주민들은 "완벽한 준비도 좋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사업을 진행한 후 보완하는 방식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회를 맡았던 이헌 교수는 "세상에는 찬성과 반대만 있는 것이 아니고 수정과 개선이 함께 있다"며 "조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지역민들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책추진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하며 공청회를 마무리했다.

한편, 공청회 중간 시민들과의 질의과정에서 한 지세포 지역주민이 조선테마파크 등의 실패사례를 들면서 이번 사업 역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발언을 하자 장승포 주민들이 심한 폭언을 퍼붓고 몸싸움이 일어나는 등 소동이 빚어지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