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서객들이 본 관광도시 거제의 물가와 서비스는?
피서객들이 본 관광도시 거제의 물가와 서비스는?
  • 거제신문
  • 승인 2012.0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말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됐다. 예년에 비해 턱없이 얇아진 지갑 때문에 해수욕장 가기가 겁이 난다는 여론도 많다. 고물가 불친절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거제지역 해수욕장을 비롯한 유명 관광지에서 거제로 휴가를 온 피서객들을 만나 관광도시 거제의 물가와 서비스에 대해 평가를 부탁해 봤다.


턱없이 비싼 물가에 놀라…저렴하게 먹을 수 있었으면 

춘천에서 거제를 오면서 경주와 부산 등을 여행하면서 왔다. 내가 사는 곳을 포함해 그곳들보다도 물가가 턱없이 높은 것 같아 비교가 될 수밖에 없었다. 거제에서 멍게비빔밥이 유명하다해 들렀는데 1만5,000원이나 하는 가격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부산의 대표먹거리인 밀면이나 국밥 한 그릇을 먹는데도 가격이 2,000∼5,000원에 불과했고 양도 많았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다음에 거제에 오게 되면 가격도 저렴하면서 푸짐하게 먹을 수 있게 됐으면 한다. 김인섭(27·인천)

울며 겨자 먹기 '물가' 시에서 관리에 신경써주길

거제에 오면서 아이들이 텐트는 불편해 할 것 같아 펜션을 빌려 지내기로 했다. 타 지역의 경우 보통 펜션 대여비가 11∼12만원 선인데 비해 여기에서는 15만원이 넘었다. 기분 좋게 온 여행을 망칠 수가 없어 울며 겨자 먹기로 빌리게 됐지만, 그것 때문에 아직도 기분이 좋지는 않다. 거제시 관계자들이 휴가철에는 수시로 가격이나 서비스 등을 시정할 수 있게 교육을 했으면 한다. 김동우(40·서울)

관광객 배려하는 관리체계 이뤄졌으면…

전체적으로 물가가 비싼 것은 알고 있었지만 해수욕장 물품 대여비도 비싼 것 같다. 학동해수욕장은 마을이나 시에서 파라솔이나 평상을 운영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전라도에서는 도에서 관리하며, 파라솔은 피서객들이 가져온 것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나머지 부분은 시나 군에서 관리해 체계적으로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거제에서도 관광객들을 배려하는 관리 체계가 이뤄졌으면 한다. 조상현(45·전남)

거제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관광지, 감내할 만한 물가

싸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 정도 물가라면 충분히 감내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거제시민들 역시 내가 좋은 분들만 만나서인지는 몰라도 친절한 것 같아서 맘에 들었다. 관광지로서의 인프라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얘기도 들어봤지만 무조건적으로 개발을 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관광지를 조성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데 거제는 그런 점에서 잘 돼 있는 것 같다.  맹재영(45·부산)

다소 부족한 인프라, 개선될 여지는 충분

가족과 함께 휴가차 전국을 돌고 있는데 이곳이 두 번째 여행지다. 거제 같은 관광지라면 많은 배움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거제의 물가라든지 친절도의 면에서 봤을 때 관광지로서 갖출 건 다 갖춘 것 같다. 시설이나 장비가 넓은 장소에 비해 다소 부족한 느낌은 있지만 앞으로 발전할 여지는 충분히 있는 도시라는 느낌이 들었다. 대체로 만족스런 여행이 되고 있어 다음에 기회가 되면 또 오게 될 것 같다. 주한목(77·강원 동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