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가 사상 처음으로 신입생 미달 사태를 맞았다고 한다. 2013년도 신입생 수시모집에서 경쟁률이 0.83대 1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해양 분야의 최고급 인재 육성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의 이 같은 상황은 우수인력 수급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의미와 함께,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조선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런 가운데 경남도와 부산대를 비롯한 25개 국내외 기관과 기업이 지난 22일 남해 힐튼호텔에서 해양플랜트대학원대학교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여기에는 경남도의 강력한 의지와 정부의 해양플랜트 산업 육성정책이 크게 작용했다.
남은 문제는 대학설립 주체와 입지 선정이다. 경남도는 9월 중 대학설립 주체와 부지선정 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해 내년 1월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 마디로 '일사천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경남도의 연구용역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지만, 정치적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계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
조선 '빅3' 중 양대 조선소가 있는 거제가 해양플랜트 산업 집적지로 손꼽히면서도, 종합대학이 있는 부산이 학술적 기술적 측면에서 앞서고 있다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국회의원에서부터 시장과 시의회 의장, 도의원과 시의원 등 거제의 모든 선출직 공무원들이 모두 팔을 걷어붙여도 힘이 모자랄 판이다. 시민들의 관심과 사회적 합의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거제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