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거제의 한 유력인사가 돌연 잠적했다. 가족이 실종신고를 하자 경찰이 휴대전화 위치추적을 했고, 그 결과 서울에서의 통화를 마지막으로 휴대전화 번호까지 해지된 상태였다.
지역 사회단체의 대표를 맡고 있던 그의 잠적은 온갖 의혹과 루머를 불러일으켰고, 결국 조선소 취업알선을 미끼로 3억 원 가량을 받은 뒤 달아난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내려졌다.
무려 9명으로부터 조선소 직영 취업을 알선해 주겠다며 거액을 받은 사실이 조사과정에서 드러나자 경찰은 지난 12일 출국금지 조치를 내리고 전국에 수배했다.
한 유명인사의 이 같은 행태는 지역사회 자정능력의 현주소를 여실히 보여주는 한 단적인 예에 불과하다. 기업체, 공직사회 할 것 없이 지역의 전반적인 자정시스템이 부실하다는 말이다.
우려되는 점은 자본이나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할 위치에 있는 기관단체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다. 시의회를 비롯해 시민사회단체, 언론, 노조 등이 그 범주에 속한다.
자정 능력은 스스로 갖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런 핑계거리가 먹혀드는 사회라면 자정시스템을 제대로 갖춰야 효과적이다.
이런 저런 낯 뜨거운 일들이 반복해 일어나는 데 대해 지역사회가 반성해야 할 입장에 놓였다.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지역의 리더들이 자정시스템을 제대로 갖추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아쉽다.
저작권자 © 거제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