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세포지역 해녀들이 대명콘도 공사장에서 연안으로 흘러든 각종 오염물질로 해양생태계가 파괴돼 생활터전이 상실됐다고 주장하며 피해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세포지역 나잠조합원과 지세포어촌계 회원 등 20여명은 지난 29일 대명콘도 신축현장에서 집회를 갖고 지세포 연안수역의 생태환경 복원 및 종패고사에 따른 피해보상 등을 대명콘도 측에 촉구했다.
이들은 "대명콘도 신축공사가 시작된 2년 전부터 공사장에서 흘러든 흙탕물 때문에 인근 수역이 뻘층으로 변해버렸다"면서 "바다 속 상황이 급속히 변하면서 돌무더기 사이에서 자라던 종패가 패사하고 해조류가 거의 사라져 버린 극심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2010년 4월부터 나잠조합원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전복 종묘를 바다에 뿌렸지만 돌 사이에 착생이 되지 않아 거의 대부분이 죽어 버렸다"며 "지난해부터 해조류 채취에도 문제가 발생하더니 올해는 해조류가 자취를 감춰 생계에 큰 피해를 입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집회에 참석한 지세포어촌계 김종식 계장은 "대명콘도 공사에 따른 실질적 피해자는 어항구역에서 어패류 등을 채취하고 있는 해녀들임에도 인근 마을 주민에게만 보상협의가 진행될 뿐 해녀들에 대한 보상논의는 전혀 되지 않고 있다"면서 "지난 4월 시청을 항의방문 해 대책마련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세포 어항구역 내 생태계 파괴에 따른 1차 책임은 대형개발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대명콘도 측에 있다"고 지적하고 "대명콘도 측에서 빠른 시일 안으로 해양생태계 회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일정 기간 동안 해녀들에게 최소한의 생계비를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대명콘도 측 관계자는 "일단 본사에 보고한 뒤 다시 만나 협의해 보겠다"면서도 "흙탕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의 경우 콘도공사장 보다는 인근 14호선 우회도로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해녀들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혀 향후 논의과정에 상당한 진통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