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터전 상실, 어떻게 살라고…
생활터전 상실, 어떻게 살라고…
  • 배창일 기자
  • 승인 2012.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세포지역 해녀, 대명콘도 공사로 연안환경 파괴 주장하며 피해보상 요구

지세포지역 해녀들이 대명콘도 공사장에서 연안으로 흘러든 각종 오염물질로 해양생태계가 파괴돼 생활터전이 상실됐다고 주장하며 피해보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세포지역 나잠조합원과 지세포어촌계 회원 등 20여명은 지난 29일 대명콘도 신축현장에서 집회를 갖고 지세포 연안수역의 생태환경 복원 및 종패고사에 따른 피해보상 등을 대명콘도 측에 촉구했다.

이들은 "대명콘도 신축공사가 시작된 2년 전부터 공사장에서 흘러든 흙탕물 때문에 인근 수역이 뻘층으로 변해버렸다"면서 "바다 속 상황이 급속히 변하면서 돌무더기 사이에서 자라던 종패가 패사하고 해조류가 거의 사라져 버린 극심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2010년 4월부터 나잠조합원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전복 종묘를 바다에 뿌렸지만 돌 사이에 착생이 되지 않아 거의 대부분이 죽어 버렸다"며 "지난해부터 해조류 채취에도 문제가 발생하더니 올해는 해조류가 자취를 감춰 생계에 큰 피해를 입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집회에 참석한 지세포어촌계 김종식 계장은 "대명콘도 공사에 따른 실질적 피해자는 어항구역에서 어패류 등을 채취하고 있는 해녀들임에도 인근 마을 주민에게만 보상협의가 진행될 뿐 해녀들에 대한 보상논의는 전혀 되지 않고 있다"면서 "지난 4월 시청을 항의방문 해 대책마련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세포 어항구역 내 생태계 파괴에 따른 1차 책임은 대형개발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대명콘도 측에 있다"고 지적하고 "대명콘도 측에서 빠른 시일 안으로 해양생태계 회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일정 기간 동안 해녀들에게 최소한의 생계비를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대명콘도 측 관계자는 "일단 본사에 보고한 뒤 다시 만나 협의해 보겠다"면서도 "흙탕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의 경우 콘도공사장 보다는 인근 14호선 우회도로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해녀들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혀 향후 논의과정에 상당한 진통을 예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