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도 대안도 없는 시민 우롱 설명회"
"분석도 대안도 없는 시민 우롱 설명회"
  • 배창일 기자
  • 승인 2012.1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현항 재개발사업 시민 설명회, 사업 정체성·필요성 등에 대한 질타 잇따라
부강건설 "이익 추구보다는 안정성 추구, 도심 확장 통해 침수대책 등 마련"

▲ 거제시민·부강종건·GS건설 관계자 등이 참석해 열린 고현항 재개발사업 시민설명회에서 각종 지적사항들이 쏟아졌다. 사진은 설명회에 참석한 시민이 사업자측에 질문을 하고 있는 모습.

"항만구역에 포함되지 않은 바다를 매립해 도시를 만드는 고현항 재개발 사업은 사실상의 신도시 조성사업이며 이번 설명회는 교통 문제, 지역상권 위축 문제 등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대안 없는 반쪽짜리에 불과하다."

지난 7일 거제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고현항 재개발사업 시민설명회에서 시민들의 지적사항이 쏟아졌다. 이날 설명회는 고현항 재개발사업 우선협상 대상사인 GS건설·부강종합건설 컨소시엄 관계자와 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해 2시간 가량 진행됐다.

고형항 재개발 사업에 대한 설명과 영상자료 상영에 이어진 질의응답 과정에서는 시민단체 관계자와 시민들의 각종 질문이 잇따랐다.

경실련과 환경련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고현항 재개발사업의 정체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성토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고현항 재개발사업은 전국 주요항만의 낙후된 항만재개발사업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신도시 조성사업"이라고 규정하고 "사업의 타당성과 정당성을 검증하고 사업추진여부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들은 또 "고현항이 매립돼 신도시가 조성되면 기존 도심상권의 몰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면서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는 매립사업이 꼭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현항 재개발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이길종 도의원은 "고현항 매립이 마무리되는 2019년의 경우, 전국적인 인구 감소는 물론 지역에서도 주택부족 현상이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1만 세대 이상의 아파트가 지역에 공급되는 실정에서 수십만평의 택지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는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사업자 측도 수지타산이 맞아야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다"면서 "매립택지의 50%를 시에 기부채납한다면 복합도심지구에 들어설 아파트의 경우 최소한 평당 1000만원 이상이 돼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침수문제와 교통난 해소에 대해서도 날선 질문이 이어졌다. 한 시민은 "고현항 매립 이전 가장 먼저 해결돼야 할 것이 침수문제"라면서 "시뮬레이션 공개 등을 통해 시민불안을 해소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은 "시도10호선과 매립부지, 장평1로를 연결해 교통량을 분산시킬 것이라는 방안은 현재 장평지역의 실정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수박 겉핥기식의 계획에 불과하다"며 "차량 한 대도 진행하기 어려운 장평1로를 어떻게 확장시켜 연결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재개발사업에 찬성하는 시민들도 있었다. 한 시민은 "현재 거제지역은 젊은층이 누릴 수 있는 문화공간이 전무한 실정"이라며 "사업지 내에 아파트가 건설돼 전체적인 주택보급률이 높아지면 당연히 지역의 아파트 가격도 하락해 서민들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답변에 나선 부강건설 관계자는 "싱가포르의 경우 전체면적의 20% 가까이를 매립해 전체적인 도시발전을 꾀하고 있다"며 "고현항 재개발사업은 신도시 사업이 아니라 도심 확장이라는 개념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현재 고현항은 해일에 의한 침수피해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상태"라면서 "폭풍해일에 대한 1차 방어선 확보, 저류시설 신설 등이 포함된 이번 사업을 통해 확실한 침수대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업의 경우 이익추구 보다는 안정성 측면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GS건설 관계자는 "관이 주도하는 공모형 PF사업은 대부분 실패하고 있다"면서 "민간사업자의 경우 재원조달 여부, 시장수용 가능성 등을 철저히 파악하는 만큼 사업 실패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GS건설이 이 사업에 참여한 것도 이윤추구를 위해 접근한 것이 아니라 회사의 사업볼륨을 유지하기 위한 측면이 크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고현항 재개발사업은 첫걸음마 단계"라면서 "앞으로 전문가집단,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사업검토와 보완, 협의 등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