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많으면 쓸모가 없고 빗나가기 쉬우며 본의 아닌 실수도 저지르는 법이다. 모든 일이 마찬가지지만 모자라는 것이 넘치는 것보다 낫다.
불교에서는 언제나 언어의 절제를 강조해왔다. 근본 10가지 악한 것 가운데 4가지가 말에 대한 금계조항이다. 망어(妄語), 기어(綺語), 양설(兩說), 악구(惡口) 이 네가지가 말에 대한 신중함을 표한 것이다.
요즈음 현실 사회에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이 악구(惡口)이다. 험담이나 욕지거리를 가르키는 것인데 인터넷 상의 악플도 악구로 보면 되지 않을까. 이렇듯 악구가 지나친 것이 한국사회이다.
조그만 재래시장에만 가도 이권과 이익 때문에 욕설이 난무한다. 나쁜 언어를 경계해야 하는 까닭은 남에게 상처를 주지만 결국은 스스로의 인격을 깎기 때문이다.
불교 경전인 법구경은 이렇게 말한다. “사람은 입안에 도끼를 가지고 태어난다. 이 도끼로 남을 해치고 또한 스스로를 해친다” 특히 지식인 사회 지도층의 부류들이 악구의 폐해가 심하다.
남을 비판하는 것은 천재적이지만 스스로를 향한 자기비판은 전혀 없다. 사실 비판은 자기 자신을 향한 것이어야 한다. 불교의 수행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이 이 언어의 절제인 것이다.
선종(禪宗)에서는 이 언어절제의 극치를 이루는 것이 묵언수행이라고 한다. 묵언수행은 대개 1년, 2년, 3년 정도 기한을 정해두고 시작하는데 남에게 불편을 끼칠까봐 목에 ‘묵언’이라고 써 붙인다.
부처님이 영산회상에서 꽃을 들어보이자 가섭존자가 미소로써 응답하고 불이(不二)의 참뜻을 묻는 문수보살에게 유마거사는 침묵으로 대답한다.
이것은 바다같은 고요함의 의미를 깨닫는 하나의 수행 방편인 것이다. 그러나 침묵한다고 해서 시비를 가릴 능력조차도 없는 것이 아니다. 시비의 분주함을 넘어선 초월성이 바로 침묵이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현란하고 자기중심적인 말을 배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침묵할 줄 아는 지혜, 조용할 줄 아는 행동을 배워야 한다.
불교는 바로 침묵의 공간이다. 침묵속에서 바라보는 세상은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닌다. 사물에 내재되어 있는 진실을 지긋이 바라보면 자유를 느낄 수 있다.
현실의 말을 버리고 침무과 고요로 자기 자신을 한 번 되돌아 봄이 어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