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곡 산단조성에 시민참여 협의체 필요
사곡 산단조성에 시민참여 협의체 필요
  • 거제신문
  • 승인 2013.02.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플랜트산업 관련 기관의 유치를 놓고 경남도 내 각 지자체가 첨예한 경쟁을 하고 있다. 이 산업의 유치가 지역발전과 직결된다는 공통된 관점에서 다른 지역보다 조금이라도 더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각종 행사나 정책을 펴고 있다. 각 지역 정치권도 지자체와 발맞춰 산업유치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이처럼 각 지자체가 자기 지역 발전을 위해 산업을 유치하려는 의도는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대부분의 지자체가 자립도 50%를 넘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인력고용이 예상되는 해양플랜트산업 유치는 좋은 먹잇감이 된다.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한 정부의 정책이나 경남도의 각별한 행보 등에 각 지자체의 촉각도 곤두서고 있다. 특히 작은 사안마저도 침소봉대(針小棒大)해 언론을 통해 마치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는 경우가 많다. 여론몰이를 통해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방편이다.

그 좋은 예가 하동과 관련한 국제 해양플랜트 대학원 대학교 입지에 관한 내용이다.

홍준표 도지사가 이 지역을 순방한 자리에서 지역균형 발전을 언급하며 예의상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내용을 지역 일간지가 보도했다.

그런데 최근 이 내용이 순식간에 지역언론을 통해 전혀 다른 사실로 둔갑했다. 이 사실을 과대하게 포장해 보도함으로써 민심을 자극하기도 했다. 이처럼 그 행보 하나에 지자체들이 일희일비(一喜一悲)하도록 만드는 해양플랜트산업의 확실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거제시의 적극적이고 일관된 자세도 중요하다.

최근 지역언론들이 이 산업과 관련한 우려의 보도를 내놓은 것은 거제시가 차세대산단 부지를 옮기면서 스스로 시민들에게 확신을 심어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행이 거제시가 산단부지 이전을 기정사실화하고 이 산업과 관련 전담부서를 신설하려고 하는 것은 고무적이다. 또 양대조선을 실수요자로 하고 해양플랜트산업을 위한 산단부지를 조성하겠다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 또한 행정의 신뢰감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여기에 거제시에 하나 더 주문하고 싶은 것은 고현항 인공섬 개발과 관련 시민 참여형 지역협의체가 구성된 것처럼 사곡만 해양플랜트산업 관련 산단 조성에도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는 것이다.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이 사업이 거제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진행하자는 취지에서다. 이를 위한 거제시의 적극적인 조치가 뒤따르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