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평가라는 것은 축제를 준비하는 초기단계부터 철저하게 평가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축제평가도 제대로 안 하고 축제를 여는 것은 선심성 축제로 그쳐 보다 나은 축제를 열기 위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시민들을 초청한 공청회를 열어 어떤 축제를 열면 좋을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꼼꼼한 축제평가를 하는 거제시가 됐으면 좋겠다.
제에서 열렸던 축제는 다 가봤다. 축제 자체로만 봤을 때는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알고보니 숨겨진 비화가 많았다. 예를 들어 진달래축제가 날씨 때문에 무산됐다던지, 숭어축제가 숭어가 없어 시장에서 파는 것을 끌어다 썼다던지 등이 그것이다. 아마 평가가 있었다면 다음해에 열리는 똑같은 축제에 이런일이 반복됐을까? 거제시는 동네의 특성과 시기를 매번 평가를 통해 파악해 한 가지 축제라도 제대로 지속시켰으면 좋겠다.
조선해양축제 같은 경우 조선소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열었겠지만 결과적으로 적자투성이의 실패한 축제라는 멍에를 뒤집어쓰게 됐다. 이는 축제 준비부터 어설펐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겠지만 만약 다시 그 축제를 열고자 한다면 정산을 제대로 하고 축제평가를 아주 세심하게 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다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테니까 말이다.
경제유발효과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는 축제는 전국적 규모의 축제가 되는 데에 있어서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지금 거제에서 열리는 축제들조차도 본인의 관심사에서 멀다면 가지 않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경제효과를 모르는 상태로 축제를 연다면 시민들의 협조와 공감대를 얻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축제를 더 발전시키길 원한다면 사후평가부터 철저히 하길 바란다.
거제의 이 많은 축제가 평가 없이 지속되어 왔다는 점에 놀랐다. 사실 거제 축제를 가봤지만 시에서 하는 축제가 영리추구 목적으로 이뤄진다는 느낌을 받아 의심이 들긴 했는데 아마 평가부재가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 같다. 시민들이 내는 세금으로 하는 행사인만큼 시민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해야하는데, 앞으로는 행사 후에 문제점이 무엇인지 잘 파악해 내년 행사에서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