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이라고 해서 새삼 가족을 생각할 건 아니지만 공동체가 합의로 정한 가족 사랑의 이벤트들이 즐비하고 그 중심에는 가정이 있다.
가정이라는 말은 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드는 보금자리를 일컫는다.
요즘 우리가 예사로이 쓰는 말들에는 모순이 많다. 혼자 사는 독신을 두고 1인 가족이니, 핵가족이니 해서 가족이라는 귀중한 뜻을 함부로 폄하한다.
가족이란 말 그대로 어버이와 자식이 중심이 되는 직계 가족을 근본으로 모여 일상을 함께 살아가는 가장 귀중한 공동체다.
그러나 간혹 이 가운데는 환경과 질병, 갈등과 사고에 의해 그 균형이 어긋나고 어쩔 수 없이 따로 살거나 홀로 살아가야 하는 불행한 경우도 있다.
이렇듯 부득이한 환경적 요인이나 질병, 사고와는 무관하게 자의적으로 혼자의 일상을 고집하는 독신생활자들이 늘어나면서 사회구도의 불균형과 비윤리적 폐해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핵가족도, 1인가족도 아닌, 고립생활이라고 해야 옳을 표현이다.
이런 현상이 불어나면서 출산율이 떨어지고 이웃이 없어졌다.
겨우 한 둘을 낳은 자식세대가 성장했지만 그마저도 부모 곁을 떠나 고립을 자처한다.
일 년 가야 객지의 자식으로부터 겨우 전화 안부 몇 번 받기가 어렵다는 부모들이 속출하고 유독 내리사랑에 집착해 온 우리네의 풍토가 어느새 품 떠난 자식에 대한 애착이 식어간다고들 한다.
필자의 지인 중에는 해마다 5월이 되면 치르는 몇몇 기념일이나 행사를 없애야 한다는 얘기를 자주 한다. 까닭은 공연히 그런 일정한 날을 만들어 부산을 떨다가 정작 평일이면 언제 그랬냐는 식으로 잊어버리고 마는 건망증식 부추기기가 가정과 가족을 생각하는 가치를 더 훼손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적어도 초등학교 시절부터라도 가족구성의 가치와 윤리를 요즘의 아이들 세대에 알맞게 가르치고, 고립생활의 자유나 방종보다는 가족유대의 정과 사랑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가르친다면, 일 년에 단 하루 무슨 어버이날이니, 어린이 날이니 하는 낯간지러운 어거지 대접은 생겨나지 말았어야 옳을 일이다.
어떤 분들은 이런 현상들도 결국은 시대가 만드는 사회적 메카니즘이고, 가만 버려두면 역사가 또 다시 돌고 돌듯 그 행태가 바뀔 거라고 관조한다.
또 어떤 이는 천만의 말씀으로 그런 역사의 순환성과는 달리 인성의 고립과 가족구도의 파괴는 점점 사회적 불균형과 혼란을 불러 일으켜 배타적 인간관계, 대립적 사회구도와 갈등을 키워 자멸의 길로 들어설 것이라고 경고한다.
속단하기는 어렵지만 인륜이 무너지면 다시 그것을 회복하는 일이 그리 만만치 않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농경사회의 윤리로부터 정보과학시대의 구조로 인한 변화를 겪고 있는 과정이라면 가정의 윤리와 구조는 더욱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과거 정부들의 교육인적자원부가 학교 운영이나 입시에 매달려 입으로만 외쳐대는 인성교육을 외면해 왔고, 아직도 가정교육은 가정에서, 학교교육은 학교에서라는 식의 상대적 주문만을 외쳐대는 바람에 우리 사회에서 전인(全人)교육이 사라져버렸다고 한탄하는 사람들이 많다.
가정의 구도가 무너지고 교육사회가 극단적 진학위주의 교육으로 치닫는 동안에는 아무리 사회복지를 주장하고 정책을 펼쳐도 모래 논에 물 대기식의 황망한 정책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거기다 언제부터 대중문화 예술에서도 가장 친숙한 영화들이 가정윤리를 파괴하고 폭력을 숭배하거나 외경하는 엉뚱한 메너리즘을 조장하는 바람에 가정과 학교가 교육생과 교육환경을 보호하지 못하는 비극을 만들게 했다.
결국은 이런 그릇된 사회구도와 환경이 가족의 파괴로 이어지고, 불신과 경계와 극단적 대립의식을 부추겨 사회양극화의 원천으로 파급되어 간다.
어린이를 보호하고 어버이를 공경하며 스승을 받드는 미풍양속과 가족 사랑의 근원이 5월이라는 행사기간이나 주기로 다시 지나가거나 차라리 없는 표식만큼도 가치 없는 일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가슴으로 생각하고 실행하는 가족윤리의 가치를 신장시킬 지혜를 찾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