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등 이상기온으로 어류 성장속도 예년보다 떨어져
한파 등 이상기온으로 어류 성장속도 예년보다 떨어져
  • 배종근 기자
  • 승인 2013.05.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멸치·전어 등 남해안 주요 어종 산란기도 늦어져…먹이사슬에 영향

▲ 겨울 한파와 꽃샘추위 영향으로 전어 멸치 등의 남해안에 어류들의 산란이 지연되고 있다. 사진은 트롤선을 이용해 자원을 조사하고 있는 모습이다.

겨울철 한파와 봄철 꽃샘추위 영향으로 남해안에 산란하는 어류들의 산란시기가 늦어지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국립수산과학원(부장 손상규) 남서해수산연구소(전남 여수 소재)가 지난달 4일부터 9일 동안 남해안 연근해 전역에 대한 춘계 수산자원조사에서 확인됐다.

연구소의 이번 조사 결과 대부분의 어류들이 최근 3년간 성숙도(成熟度) 비교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봄철 남해안에서 산란하는 대표적인 어종은 멸치 전어 반지 청멸 보구치 성대 등으로 남해의 주요 상업 어종들이다. 이들 대부분 어류의 중숙(中熟)이상 개체들의 출현율은 전년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멸치는 전년대비 약 59% 수준이었으며 전어 27%, 보구치 57% 수준으로 각각 나타났다.

올해 4월 조사해역의 수심 10m 평균수온은 13.5℃로 2011년 13.2℃, 2012년 13.5℃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할 때 어류의 월동장으로 이용되는 제주 서부해역의 올해 겨울철 표층 수온이 전년에 비해 2∼3℃ 낮게 나타난 동계한파의 영향이 장기간 지속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특히 남해안의 주요 어종인 전어와 멸치의 경우 성숙수준이 낮아 전반적인 산란기 지연이 나타나고 있다.

또 먹이사슬 내에서 대부분 1차 소비자인 이들 어종들의 산란시기 지연은 이들을 먹이로 하는 주요 어종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남서해수산연구소 김희용 박사는 "급격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양생태계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므로 어종별 자원생물학적 특성 및 환경변화를 살펴 이후 자원변화가 어떻게 전개될지 분석해 어업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면서 "어업인들도 수산연구소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최대한 활용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