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중앙당 최고위원회가 거제시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이하 당협위원장) 승인을 보류하면서 김한표 국회의원의 당협위원장 겸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새누리당 중앙당은 지난 13일 최고위원회를 열어 전국 246개 당원협의회 가운데 호남지역 10곳을 제외한 236개 당협위원장 승인 절차에 착수, 현역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이 일치하지 않은 지역 4곳과 충북 청주시 흥덕갑 1곳 등 5곳을 제외한 231개 당협위원장을 승인했다. 거제의 경우 현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이 일치하지 않은 지역으로 분류돼 최고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새누리당 중앙당 최고위원회의 이 같은 결정으로 그동안 김한표 국회의원과 진성진 당협위원장 사이에 벌어졌던 치열한 물밑 공방은 김 의원의 승리로 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당장 김 의원의 당협위원장 겸임 여부에 저울추가 기울고 있는 모양새다.
새누리당 경남도당 관계자는 "현재 거제지역의 경우 당협위원장이 미정인 상태여서 사고지구당으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면서 "당 사무총장 선출 등의 일정이 마무리되면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당협위원장과 관련한 최고위원회의 결정이 나게 될 것"이라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현역 의원과 당협위원장이 일치하지 않는 지역은 지역민심이 나뉘는 등의 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지난 20일 핵심당직자 인선이 완료된 만큼 홍문종 신임 사무총장이 최고위원회에서 안건을 상정해 상황 정리에 나서게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해 겸임 가능성을 시사했다.
새누리당 소속 A 의원은 "당원협의회 운영위원회의 결정을 중앙당이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은 당협위원장을 현역의원으로 교체할 것이라는 방침을 확정한 것"이라면서 "운영위원, 면·동 협의회장 교체 등이 예상되는 만큼 진성진 당협위원장의 지역 내 정치적 입지 축소는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진 당협위원장도 더이상 힘겨루기에 연연하기 보다는 깨끗하게 평당원 역할에 충실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진성진 당협위원장 측은 중앙당의 결정에 즉각적인 대응을 자제하며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모양새지만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분위기다. 현 상황을 타개할 대응방안이 사실상 전무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당 안팎의 분석이다.
진성진 당협위원장 측 관계자는 "당 최고위원회와 경남도당의 지침에 따라 운영위원회를 개최해 당협위원장을 선출한 만큼 문제가 될 부분은 없다"면서 "최고위원회의 재논의 과정을 지켜보며 앞으로의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진 사퇴와 관련해서는 "명확한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 시점에서 거론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면서도 "일부 언론 등에서 이번 일을 두고 '사고지구당 결정'이라는 자극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밝혔다.
한편, 새누리당 당규 지방조직운영규정 제3장 당원협의회 제28조에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해당 시·도당위원장과 사무총장의 의견 청취 후 해당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의 사퇴를 의결한 경우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사퇴한다고 명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