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으로 모인 44억'이라는 액수를 떠나서 시민들을 상대로 편취를 했다는 것 자체가 괘씸한 일이 아닌가. 당연히 시에서 강력한 대응을 해야 할 판국에 기부니, 차후 이익을 고려했다느니 하면서 현대산업개발 면죄부를 합리화시킨다는 것은 시 조차도 시민들을 우습게 본 것이다. 이는 시민들이 시 행정의 비리를 의심할 가능성을 열어 둔 셈이다. 시민단체들도 분명 이 문제를 쉽게 넘기진 않을 것 같다. 강무혁(47·고현동)
면죄부를 줘서는 안 된다. 현대산업개발의 문제는 절대 쉽게 넘어갈 만한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횡령은 명백한 잘못이며 이에 대해 거제시가 입찰 제한을 한 것도 당연한 행위다. 그런데도 갑자기 입찰 제한을 5달에서 1달로 줄인 것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 이왕 징계를 하기로 결정했으니 강력한 징계를 통해 본보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이런 일이 다시 없도록 말이다. 전승두(31·장평동)
현대산업개발의 배짱은 정말 대단한 것 같다. 횡령을 하고도 기자회견 한 번 한 것으로 그렇게 뻔뻔할 수 있다니. 그에 비해 5개월 입찰 제한은 솜방망이라고 생각되는데 거기서 또 1달로 줄여버린 것은 현대산업개발 측과 거제시 측의 뒷거래가 있지 않고는 쉽게 상상되지 않는 일이다. 현대산업개발 측에 면죄부를 주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더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 임일국(51·연초면)
거제시가 입찰 제한기간을 축소한 것은 아마도 현대산업개발 측이 한 기자회견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면죄부라는 것은 그가 정당히 죗값을 치렀을 때 주어지는 것인데 현대산업개발은 기자회견 한 번으로 죗값을 모두 치르기라도 한 것인가? 그렇게 줄이는 것이 도대체 거제시와 시민들에게 무슨 이득이 되는 것인가? 순전히 현대산업개발을 위한 것밖에 되지 않는다. 곽희정(34·고현동)
시는 시민들의 자존심과 70억을 맞바꾼 격이다. 한 시민으로서 정당한 절차도 밝히지 않은 채 예산에 1.5%가 되는 기부금을 받는다는 조건으로 면죄부를 준다는 것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대기업인 현산이 기업에 타격이 되는 제안을 했겠는가. 분명 우리 시의 이익보다 가능한 좋은 방향으로 최선책을 내놓은 것일텐데 거제시가 덥석 물어버렸다. 오히려 전국적으로 추락한 현산에게 좋은 이미지와 소득을 챙겨준 결과만 낳았다. 박동민(62·일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