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지분 17.15% 매각의 실무를 담당할 주간사 선정에 국내외 증권사와 투자은행이 짝을 이룬 4개의 컨소시엄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대우조선 주식매각 주간사 선정을 위한 입찰마감 결과 한국투자증권-JP모건, 삼성증권-골드만삭스, 현대증권-크레딧스위스, 우리투자증권-BOA메릴린치 등 4개 컨소시엄이 제안서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선정위원들이 입찰자들을 대상으로 후보를 추린 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소위와 전체회의 등을 거쳐 7월중 우선협상대상자와 차순위대상자 등 2곳의 컨소시엄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손병두 사무국장은 지난 19일 김한표 국회의원에게 한 보고를 통해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가 보유하다 지난 2월 금융위원회로 전입된 주식 17.15%에 대해서만 매각 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날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보고를 통해 "매각방식은 경쟁입찰을 통한 공동매각, 단독 경쟁입찰 매각, 블록세일 매각 등을 고려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적정 매수자 확보가 어려워져 회수 시기는 지연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또 "현재 산업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 주식 31.46%에 대해서는 매각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 "이에 따라 경영권 이양과 같은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매각 사유에 대해서는 "조선산업의 경쟁 심화에 따른 대규모 시설투자 등 경영판단이 중요한 상황에서 정부 기관이 지배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게 부담"이라며 "특히 정부(금융위)가 공기업이 아닌 민간기업의 대규모 지분을 장기간 보유하는 것은 시장원리와 상충된다"고 설명했다.
김한표 의원은 "지역 향토기업인 대우조선해양(주)의 주식 매각은 거제시민들과 대우조선 임직원들의 뜻이 최대한 반영돼야 한다"면서 "2014년부터 상승세로 접어들 조선산업을 대비해 경쟁력 있고 투자여력이 있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매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대우조선해양은 잠수함 및 구축함 등을 건조하기 때문에 방위사업법 및 외국인투자촉진법상 제한이 있는 것을 염두에 두고 주식매각을 추진해야 한다"며 "상장주식인 만큼 주가 영향 소지 등을 감안해 향후 매각 작업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대우조선노동조합(위원장 성만호)도 지난 20일 금융위원회를 방문해 당사자 참여보장 등을 요구하는 항의서한을 전달하고 정부의 일방적 매각추진에 유감을 표명했다.
대우노조 관계자는 "이날 노조위원장 등이 금융위 관계자를 만나 이번 매각의 추진 방법 등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면서 "일괄매각 반대, 해외매각 반대, 투기자본 반대, 당사자 참여보장, 국민기업화 추진 등 노조가 주장하고 있는 5대 매각방침에 대해 정부의 전향적 자세를 촉구했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가 매각할 지분은 17.15%는 현재 가 2만5000원 기준으로 8000억원 가량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