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주도면밀한 추진 필요
해양플랜트, 주도면밀한 추진 필요
  • 거제신문
  • 승인 2013.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제를 중심으로 해양플랜트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경남도의 의지가 확실하다. 지난 5일 거제시에서 '경남 해양플랜트산업 육성지원단 회의'가 개최돼 이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나타냈다.

그동안 하동과 해양플랜트 산업 주도권을 두고 거제시와 줄다리기를 했지만 정치적 영향력보다는 산업기반이 튼튼하게 구축된 거제시를 외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하동시는 해양플랜트 연구개발(R&D)을 중점으로 하고 거제시는 생산에 초점을 맞춘 형태로 경남도가 육성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거제시는 이번 회의와 함께 기획재정부에서 같은 날 발표한 박근혜 정부의 '지역공약 이행계획'에 경남지역 7개 산업에 '해양플랜트 생산단지 조성 지원'이 포함된 것에 매우 고무돼 있다. 특히 경북지역 7개 사업에 '김천~거제간 남부내륙 철도사업 조기 추진'도 포함돼 있다.

정부의 든든한 지원을 등에 업고 시장의 공약사항을 추진하기 때문에 외견상 일사천리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 늘 그렇듯 계획에 불과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번 발표의 맹점을 잘 짚어 경남도와 거제시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부분들이 있다.

이번에 발표된 거제와 관련된 내용들은 모두 계속 사업이 아니라 신규사업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계속사업은 하동지구 경제자유구역 건설과 한려해상권·섬진강권·지리산권의 관광자원 개발에 대한 지원 등 2개 사업에 불과하다.

이 사업들은 이미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계속 지원이 가능하다. 하지만 신규사업은 계획일 뿐 구체적 사업일정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가장 잘 하는 것 중에 하나가 '해바라기'처럼 위쪽만 바라다보는 것이다.

정부가 모든 것을 다 해줄 것이라 믿고 기다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이런 행태를 보이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해 줄 때만 기다리다 보면 사업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높다.

거제시가 낭패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사업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정부의 우선지원 대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 적극적이고 주도면밀하게 대처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