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을 위해 무슨 일을 했기에 또 돈을 더 받겠다는 거냐는 게 대다수 주민들의 반응이다. 의원들은 물가상승과 공무원 월급 인상을 운운하며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항변할 것이다. 시민사회단체나 지역주민, 지역 언론들의 의견을 수렴해 의정비 인상에 대해 신중히 검토해봐야 한다. 지역주민들로부터 나아진 의회활동으로 공감을 얻고 있는지 제대로 따져보고 의정비 인상이 왜 필요한지를 보다 현실적으로 문제 제기를 해야 한다. 허단비(23·아주동)
의정비 인상을 노리는 지방의원들의 자격을 비판하기 보다는 현 지방의원들의 의정비가 적정한지, 적정하게 책정되고 있는지 먼저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합리적 수준의 의정비를 정해야 한다. 의정비 인상에 대한 논의의 시작은 전적으로 의회본연의 역할을 얼마나 충실히 수행했는가에 대한 업적과 평가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언론에서는 의정 활동하는 시의원들의 감시를 철저히 해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이정섭(57·전지목)
지방의원들의 자율적 의정비 책정 제도는 그 자체로도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 뭔가 확실한 기준과 원칙을 세우고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서 지역사회에서 적정 보수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의원 1인당 월 의정활동에 들어가는 비용 파악을 꼼꼼히 조사해 물가상승분이나 공무원 보수 인상률, 의정활동 실적을 감안해 책정될 수 있도록 해 일은 쥐꼬리만큼 수당은 남산만큼의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옥강우(65·고현동)
새삼스럽게 기초의원의 원론적인 역할을 말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초의원들의 무보수 봉사자라는 의미도 퇴색돼 가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역발전이 담보된 의정비 인상은 개인적으로 찬성이다. 물가의 인상, 기초의원들의 역할증대 등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활동비라 말할 수 있는 의정비는 초라한 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의정비 인상으로 의원들의 활동이 더 확대되고 활발해 질 때 지역의 발전 또한 당연해야 할 것이다. 정현(49·중곡동)
시민들은 지난 1년간 시의원들의 활동에 대해 좋은 점수를 주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시의원 의정비 인상 움직임에 대해 반대한다. 의정비 인상은 지방행정의 발전과 재정여건의 향상이 이루어진 다음에 심도 깊게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의원 전문성 강화와 지방의회의 견제기능 강화, 주민 참여제도의 즉각적인 도입 등 시민들이 우선적으로 바라고 있는 활동을 우선해야 한다. 김종훈(60·고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