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공원조성·일자리 제공 등 지속적 보상방법 통해 주민 갈등 해소 나서야

거제시민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여기는 장사시설은 화장시설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장사시설 설치와 관련된 지역민과의 갈등 해소를 위해서는 투명하고 합리적 부지선정, 지역 주민의 장사시설 인식 개선 및 인센티브 부여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거제시는 지난 10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거제시 장사문화시설수급 중·장기계획수립 중간 용역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회의는 행정 관계자, 시의원 등이 참석해 용역사의 자료를 토대로 거제시 장사정책의 환경 및 여건변화, 국내외 장사시설 사례분석, 설문조사 분석, 거제시 장사시설 수급계획 등을 논의했다.
중간 용역결과 발표를 맡은 경남발전연구원 이자성 박사는 "지역민이 선호하는 장례방식이 매장에서 화장으로 전환됨에 따라 화장수요에 대응한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며 "적극적인 장사법 홍보 및 교육 등을 통해 화장장 등의 장사시설 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경남발전연구원이 지난 7월29일부터 8월8일까지 지역 거주 30대 이상 성인 382명(남 179·여 177명)을 대상으로 한 장사시설 수급 추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선호하는 장례 방식의 경우 응답자의 73.6%가 화장을, 26.4%가 매장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 선호의 이유로는 비용부담과 관리의 편리성(42.5%), 부족한 묘지문제 해결(29.5%), 자연환경 훼손방지(24.1%), 호화묘지 조성 억제(1.9%) 순으로 파악됐다.
매장 선호 이유로는 전통적 관습 및 선례존중(45.7%), 조성해 놓은 자리 있음(27.7%), 후손들의 성묘 장려(11.7%), 화장문화 및 시설의 부정적 이미지(6.4%) 등으로 집계됐다.
화장희망 안치지역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1.3%가 지역 내 안치를, 18.7%가 타 지역 안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설보다는 공설 화장 희망 장례시설 설치(87%)를 원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장사법 및 장사시설 인지에 대해서는 설문 참여자의 절반인 50%가 모르고 있다고 답해 대조를 이뤘다.
가장 우선적으로 설치돼야 하는 장사시설의 경우 화장시설 39.9%, 공설 장례식장 21.9%, 자연장 시설 18.5%, 봉안시설 10.4%, 공설묘지 시설 6.7%의 순으로 파악됐다. 타 시군과의 공설 화장시설 공동 사용에 대한 답변은 49.4%가 찬성, 22.2%가 반대, 28.4% 상관없다고 집계됐다.
거주지 인근의 공설묘지 및 공설화장장 설치 반대 이유로는 정서적 혐오감 54%, 자연환경 훼손 19.9%, 지가하락 19.6%, 자녀교육에의 지장 1.9% 순으로 나타났다.
장사시설 가운데 화장시설 접합위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4%가 사등면을, 19.5%가 둔덕면, 14.5%가 거제 외 지역, 9.5%가 동부면을 꼽았고 봉안시설 적합위치는 사등면(24.8%), 둔덕면(18.7%), 거제 외 지역(10.6%), 동부면(9.8%) 순으로 파악됐다.
매장시설 적합위치는 둔덕면과 거제면 16%, 거제 외 지역 14.9%, 연초면 13.8% 순으로 나타났다.
장사시설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원인으로는 지역주민의 경제적·환경적 피해가 33.4%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뒤를 이어 지역이기주의 28.1%, 지역주민의 이해부족 16.9%, 장사시설에 대한 정보공개 미흡 11.2%, 지자체의 일방적 사업추진 9.6% 등으로 집계됐다.
장사시설 건립 시 갈등해결 방법으로는 시설정비 및 지역 내 필요시설 건립(38.2%), 경제적 보상(31.2%), 주민참여 확대(30.3%)로 나타났다.
장사시설 건립 계획 시 주민참여 방식은 입지와 건립 등 중요한 문제들은 주민투표로 결정이 39.9%, 주민대표가 항상 참가해 장사시설의 입지 및 시설계획 등에 대한 의견 제시가 37.4%를 보였고 집단민원이나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제시가 18.3%로 집계됐다.
이 박사는 "장사시설 설치에 따른 갈등조정 절차 도입, 투명하고 합리적인 부지 선정, 지역주민의 장사시설 인식개선 및 인센티브 부여 등을 통해 주민과의 마찰을 해소해 나가야 한다"면서 "단순한 금전적 보상보다는 일자리 제공 등을 통한 지속적인 보상방법을 모색하고, 주민투표 과정을 거치는 것도 갈등을 봉합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선진 장사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홍보와 교육은 물론 장사시설 입지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지역주민들의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체계화 해야한다"며 "장사시설의 첨단화 및 고급화로 주민 친화적 시설을 구축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