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단죄비 건립 등 철거 때가지 투쟁 예정
거제시가 '김백일동상 철거 소송' 상고심에서 패소했지만 철거를 주장해왔던 시민단체들은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원칙에 합의해 이후의 대응이 주목된다.
대법원은 지난 11일 거제시가 제기했던 '김백일동상 철거 소송'과 관련 상고심에서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 측의 주장을 받아들인 반면 거제시의 철거 주장을 배척했다. 거제시의 패소 이유와 판결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김백일 장군의 친일행적을 문제 삼아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 설치된 동상의 철거를 주장해왔던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김백일동상 철거대책위(위원장 한기수)는 '철거를 위한 투쟁'을 계속 진행한다는 큰 원칙에 합의한 가운데 지난 15일 대책회의를 갖고 향후 전략을 수립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백일 동상 철거를 주도한 거제경실련 노재하 사무국장에 따르면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철거 관련 투쟁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김백일 장군의 친일행적을 집중 조명하는 역사바로세우기 운동의 전개다. 해방 전 활동과 관련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결정문을 통해 김백일 장군의 친일행적을 적극 알린다는 방침.
이를 위해 현재 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에 설치된 김백일 장군의 동상 옆에 친일행적상을 적나라하게 기록한 '단죄비(가칭)'를 건립할 계획이다. 단죄비 건립 기금은 추진위원회를 결성해 마련할 예정이다.
또 지난 6월4일 김백일동상 철거대책위(위원장 한기수)가 김백일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던 것처럼 이번 결정에 대해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빠른 시간내 열 계획이다.
이와 함께 김백일 장군의 친일행적을 파헤치는 '심포지엄'을 민족문제연구소 박한영 실장을 초청해 개최하고 시민들에게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2011년 5월27일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이하 기념사업회)가 거제시로부터 승인 받아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내에 세웠던 김백일 동상은 문화재형상변경절차를 거치지 않아 경상남도로부터 철거명령을 받았다.
이에 따라 거제시의회 의원과 시민사회단체가 '김백일동상 철거대책위'를 만들어 동상철거를 지속적으로 주장함에 따라 거제시는 기념사업회를 상대로 동상 철거 명령을 내렸으며 이에 대한 반발로 기념사업회는 같은 해 8월3일 법원에 거제시를 상대로 '동상철거명령 및 철거대집행 계고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 2012년 5월10일 1심에서 기념사업회에 패소했던 거제시는 지난 5월16일 열린 항소심에서도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지난 11일에 있었던 대법원 상고심에서도 같은 결과를 되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