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찾아 주는 학교, 꿈을 키우는 아이들"
"꿈을 찾아 주는 학교, 꿈을 키우는 아이들"
  • 홍소영 기자
  • 승인 2013.1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포초등학교 김수생 교장

아름다운 시골 어촌마을의 작지만 사랑과 꿈이 숨쉬는 학교, 외포초등학교를 찾았다.

교문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것은 즐거운 웃음소리와 함께 힘차게 공놀이를 하고 있는 아이들. 저마다 때 묻지 않은 순수한 얼굴들을 하고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안녕하세요!"라며 곧잘 인사를 한다. 김수생 교장은 지난해 9월에 부임해 남다른 학교 사랑으로 학교의 통·폐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김 교장이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바로 '교육환경'이다. 방과 후 아이들이 학원에 갇혀있는 것이 아니라 선후배가 구분없이 뛰어놀고 공부하며 정서적 안정을 발산해 놀이와 학습이 하나되는 교육환경을 아이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김 교장의 첫 번째 목표이다.

"우리 학교 아이들은 1학년 때부터 전교생이 1인1악기 연주를 배워 6학년 때는 한 악기를 완전히 마스터 해 졸업을 합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과 후 활동으로 다채로운 교육을 받습니다. 아침시간에는 꿈 자랑 발표시간과 그 간의 연습을 뽐내는 장기자랑 시간을 가집니다. 큰 학교에 비해 단체 활동 경험은 적을 수 있지만, 개인 활동 역할 기회가 많아 아이들의 발표력이 우수하고 개개인의 참여도가 무척 높습니다.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아이들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 또한 뜨겁습니다."

왕따를 당하거나 교육지도가 어려웠던 학생, 큰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했던 아이들이 외포초등학교를 찾아오게 되면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아이들 한 명 한 명에 따뜻한 관심과 열정을 다하는 교사들의 지도 덕분에 아이들이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덧 외포초등학교는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찾아오는 학교'로 변모했다. 아이들과 인사를 나누고 부족한 것은 없는지 관심을 기울이는 김 교장은 점심식사 시간에도 이창호 교감과 함께 양질의 교육을 위해 의견을 나누는 등 한 시도 교육에 대한 끝없는 열정을 놓지 않았다.

"아이들이 어떤 소질이 있는지 관심을 갖고 다양한 경험과 체험활동, 문화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학교의 역할입니다. 외포초등학교 학생들은 남을 사랑할 줄 아는 아이, 자신감과 꿈을 키우는 아이라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꿈을 찾아주는 학교, 꿈을 키우는 아이들'을 만드는 것이 김 교장의 가장 큰 교육철학이다. 외포초등학교가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학교·학부모·동문·지역주민이 함께 힘을 합쳐 만든 '학교살리기 추진위원회(위원장 권순식)'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학부모·지역·학교가 더 나은 발전을 위해 하나로 교육공동체를 만드는 일은 참 보기 드문 일입니다. 외포초를 살리기 위한 그 한 마음이 지역 참여도를 활성화시키고 모범적인 학교를 만드는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외포초등학교는 아직도 힘겨운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외포초를 찾아오는 학생들은 많았지만 통학버스를 지원받지 못해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현재는 학교살리기 추진위원회가 마련한 기금을 통해 어렵게 통학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또 통·폐합 위기로 교실 증축과 시설 지원이 중단됨에 따라 외포초는 학교 교실 수 기준에 50%가 미달되는 실정이다. 교실 수가 부족하다보니 1학년 교실과 돌봄 교실을 절반으로 나눠 함께 쓰는 등 반 칸 교실, 반 칸 독서실, 반 칸 컴퓨터실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열악한 교육 환경이다.

하지만 지난 2011년 통·폐합 위기를 극복한 모두의 노력이 열악한 교육환경을 상쇄시키고 있다. 아이들의 꿈이 깊어 갈수록 외포초등학교의 미래는 더욱 밝을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