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역사는 과거의 통찰과 현재의 선택으로 미래를 잉태하는 스토리의 기록이다.
우리시는 천혜의 자연경관과 조선강국의 젖줄인 양대 조선소의 활황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축복받은 개인소득 2만 달러를 웃도는 부의 상징도시로 알려져 있다.
이름 하여 명실상부한 조선·해양관광도시의 테마가 있고, 교통·산업·관광 인프라의 장밋빛 청사진이 진행되고 있으며, 클린거제의 전국 인류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테마와 스토리를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거제시를 이끌고 있는 지도자들이 市 정책의 신중한 선택과 효율적인 집중이 있을 때 우리의 미래는 한걸음 빠르게 희망적으로 달성될 것이다.
우리만의 청사진을 잘 선택할 때
거제도는 지정학적으로 남해안 시대의 해양도시 건설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2010년 거가대교, 2013년 거제-마산간 대교 착공, 2017년 거제-대전간 고속도로가 준공되면 지금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 대변화가 시작될 것이다. 따라서 엄청나게 밀려오는 차량을 분산시키고 사람들이 쉴 곳을 만드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상주인구 40만 유동인구 10만을 위한 비즈니스와 휴양을 겸할 수 있는 신도시 건설, 지역과 마을이 잘 연계된 도로망 건설, 자연환경과 조화된 대단지 전원타운과 대규모 펜션단지 조성, 휴양리조트, 실버타운과 청소년 수련시설, 최신형(2층 버스) 대중교통수단의 신설 등 이러한 준비를 위해 도시계획 수립과 시책실행을 위한 최고정책위원회의 상설기구가 필요할 것이다.
조선특구 추진 빨리 서둘러야
남해안과 서해안까지 8곳의 자치단체가 6백19만평의 조선특구를 추진중이며, 인근 고성군은 승인됐고, 통영도 이미 승인을 눈앞에 두고 있다.
늦은 감이 있지만 다행히 지난 6월27일 (주)STM과 거제시간 약 4백만㎡(1백20만평)의 하청조선특구 투자협약(MOU) 체결이 되었다.
그리고 장목면민이 추진하는 (가칭)장목조선특구 추진위원회(위원장 김상경)가 크루즈 조선 및 배후시설에 필요한 1천만㎡(3백만평)의 특구지정을 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다. 과연 한 지역에서 두 곳의 특구가 가능한지 자칫하면 지역간 과열경쟁이 예상되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시기에 거제시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어느 곳이 경쟁력을 잘 갖추었는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어쨌든 행정과 시민이 한마음 되어 지역경제의 큰 줄기인 조선산업 육성을 위해 발 벗고 나설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다함께 총력을 기울여 집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상업용지 변경 공론화시켜야
최근 신현지역에 뜨거운 감자로 오르내리고 있는 삼성증권 거제지점 건너편의 현 무료공설주차장의 상업용지 변경문제는 공론화가 필요하다.
이 땅의 주인은 대림산업 자회사인 (주)고려개발이다.
이 회사는 고현만 공유수면 1백만㎡(약 30만평) 매립을 통하여 엄청난 이익을 남겼으며 부도에서 회생까지 거제도 자산이 큰 효자 노릇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거제시와 추진중인 빅딜내용을 보면 고려개발은 공설주차장 고현리 970번지 1만1천5백80㎡(3천5백평)를 상업지로 변경해서 연건평 3만3천㎡(1만평)의 스트리트 형태의 테마 대형명품 쇼핑몰을 건축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한 반대급부로 삼성병원 뒤편 고려개발 소유의 고현리 970-10번지 일원 3천8백61㎡(1천1백68평) 부지를 거제시에 기부하면 이곳에 거제시가 60억원의 예산으로 3백대 규모의 주차타워를 건립한다는 것이다.
즉, 공익과 사익을 균등하게 나누어서 거제시도 좋고 회사도 낫다는 흥정인 것이다.
본인의 계산은 고려개발이 기부하는 3만6천5백88㎡(1천1백68평)의 대지는 70억원(3.3㎡(1평)당 6백만원) 정도의 시가이며, 상업변경부지 1만1천5백80㎡(3천5백3평) 용도 전환시는 현가 2백45억원(3.3㎡(1평)당 7백만원)에서 변경가 3백85억(3.3㎡(1평)당 1천1백만원)이 되므로 사익이 1백40억원 공익이 70억원으로 평가된다.
여기에다 개발의 적정한 시기문제, 개발에 따른 시민의 정서문제, 상인들의 상권문제 등 충분한 토의와 검증이 필요한 것이다.
물론 주차문제의 해결과 새로운 테마상가의 등장으로 긍정적인 기능도 잘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시행정이 독단적으로 결정할 문제는 아니며 더욱이 공개행정 시대의 정신인데도 특정부서에서만 움직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된다.
이제는 수면위로 부상시켜 공론화시키고 불필요한 오해보다는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한 투명한 정책으로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