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선거전이 시작되면서 도심 전역이 '축제'가 아닌 '선거공해'와 '불법주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22일 6·4지방선거 공식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각 정당과 후보자들은 여느 때와 다름없이 자신을 알리기 위해 여념이 없지만 민심은 싸늘해 보인다.
선거운동을 하는 것조차 조심스러운 탓에 일부 후보들은 '조용한 선거'를 표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선거전이 과열되기 시작하면서 '조용한 선거'는 점점 사라지고 또다시 소음과 네거티브가 난무하는 선거전이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역 주요 도심은 매일 아침 '명함 공해'로 하루가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후보들이 나눠주는 명함의 상당수는 그대로 버려지고 있고 버려진 명함을 회수하는 후보자 캠프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도시의 풍경을 누더기처럼 보이게 만드는 '현수막 공해'도 유권자들의 눈을 피곤하게 한다.
후보자들은 주로 전주·가로등·신호등 기둥(철주)에 현수막을 내걸기 때문에 보행자 안전도 위협하고 있다.
지난 27일 거제시선관위 관계자에 따르면 1개 동에 광역단체장·광역의원·기초단체장·기초의원 후보자들이 1개씩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다. 문제는 선거 현수막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시민 김모씨(29·고현동)는 "가로등이나 보행자 신호등에 현수막을 거는 건 매우 위험하다"며 "시민 불편을 초래하는 현수막은 후보자의 득표 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시민들은 유세차량의 교차로 '불법주차' 탓에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기도 하다. 특히 지난 24~25일 거제 지역 주요 사거리 등 일명 '명당' 자리에는 후보자들의 유세차량들이 앞다퉈 자리를 잡고 거리 유세를 펼쳤다. 유세차량에는 후보자의 이름과 기호·정당·주요 정책 등을 표기, 유권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하지만 일부 유세차량들이 도로에 불법주차를 하면서 출·퇴근시간대 차량 통행을 방해하는 등 운전자들에게 불편을 끼치고 있다. 평소 차량 통행량이 많은 고현사거리 모퉁이는 유세차량이 자리를 잡자 우회전을 하던 운전자들이 유세차량을 피해 운행하면서 불편을 겪었다.
시민 최모씨(42·장평동)는 "유세차량을 이용한 선거운동은 필요하겠지만 차량통행을 방해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며 "운전자들에게 불편을 주는 선거운동은 투표에도 역효과가 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선거공해' 발생에 세금이 쓰인다는 점이다. 선거법에 따라 후보자는 선거에서 10% 이상 득표하면 선거비용의 50%, 15% 이상 득표하면 선거비용 전액을 보전 받는다.
2010년 6·2지방선거 당시 거제시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비용 보조금 명목으로 14억2735만 원을 지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