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와 전쟁’ 시작됐다
‘적조와 전쟁’ 시작됐다
  • 김석규 기자
  • 승인 2007.07.19
  • 호수 1
  • 1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도, 적조방제 사업비 배정, 황토 6개 시·군에 적치

남해수산연구소, 10월까지 수산피해 대책반 설치, 가동

여름 바다 최대의 적 ‘적조와의 전쟁’이 막이 올랐다.

경남도는 장마가 끝나는 7월 중순부터 8월초 전남 나로도-경남 남해도 해역에서 유해성 적조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는 올해 적조방제 사업비로 8억9천만원을 마련, 시·군에 배정했고, 방제용 황토는 44만6천톤을 거제 통영 사천 고성 남해 하동 등 6개 시·군 18곳의 적치장에 쌓아두었다.

적조가 발생하면 곧바로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항공 및 해상예찰을 병행한다. 예찰결과는 경남도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고 어업인들의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도 보내게 된다.

황토 방제작업 외에도 새로운 적조 방제기법 개발을 위해 ‘적조생물 차단막 설캄와 ‘양식어류 방류사업’ 등 시범사업도 계속된다.

적조생물 차단막은 가두리 양식장을 통째로 에워싸 적조생물이 양식어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만든 것이다.

수심 7m까지는 바닷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만들고 그 아래쪽 7m는 해수가 스미는 특수천으로 제작됐다. 통영시 산양읍 삼덕해역과 한산면 추봉해역 등 5개 해역 0.4㏊가 대상이다.

양식어류 방류사업은 적조로 폐사가 우려되는 어장의 고기를 미리 풀어주는 것으로 남해군 미조해역에서 시행되는데 방류를 한 어장 주인에게는 복구비가 지원된다.

도는 적조가 심할 경우 행정기관은 물론 유관 기관과 해경, 군부대 등이 참여하는 적조방제 협력체제를 구축, 대응할 계획이다.

지난해 8월13일 남해 미조해역에서 유해성 적조가 처음 발생해 8월29일 일시 소멸됐다 적조 발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10월18일 다시 발생했다.

이 적조는 10월3일 완전히 사라졌으며 양식어장 1곳에서 전어 69만8천리가 죽어 6천9백만원 피해가 났다. 2000년대 들어서는 2001년 61억원으로 피해액이 많았고 2004년 이후에는 피해가 거의 없었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도 하절기 이상해황(적조, 수온상승, 저염분, 빈산소수괴 발생 등)에 따른 양식생물의 대량폐사가 우려됨에 따라 10월까지 수산피해 대책반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