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특화산단, 떡줄 기업은 생각도 없는데…
해양플랜트 특화산단, 떡줄 기업은 생각도 없는데…
  • 배창일 기자
  • 승인 2014.0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의회 산건위, 전략사업담당관 업무보고 자리서 신랄하게 비판

거제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위원장 전기풍) 소속 의원들이 거제 해양플랜트 특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이하 해양플랜트 특화산단)의 문제점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산건위는 지난 28일 열린 전략사업담당관 소관 업무보고 자리에서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하고 있는 해양플랜트 특화산단 조성사업을 두고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없는데 집행부만 안달이 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김성갑 의원은 "조선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와 맞먹는 규모의 대형 산단을 조성해 분양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물량확보 자체가 되지 않는데 경영난을 겪고 있는 조선협력사가 특화산단에 입주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대우와 삼성에서도 해양쪽으로 사업을 추진하다 심각한 경영난에 봉착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해양플랜트 특화산단이 과연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담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덧붙였다.

박명옥 의원은 "해양플랜트 특화산단이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 토지를 강제수용 할 수 있어 사업자만 유리한 사업이 될 것"이라면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경우 빚이 119조가 넘는 부실기업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또 다시 1조원이 넘는 규모의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해양플랜트 특화산단은 모두 허구"라며 "사업자체의 검토를 다시 해야 한다"고 일축했다.

김경진 의원은 "삼성과 대우에서도 해양플랜트 사업을 사양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면서 "해양플랜트 특화산단 입주라는 떡을 줄 대우와 삼성은 아무런 생각이 없는데도 집행부만 안달이 나 있는 상황"이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조호연 의원 역시 "해양플랜트 특화산단이 국가산단으로 지정된다고 해도 국가가 모든 책임을 지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며 "159만원이라는 높은 부지 매입비로 어떻게 분양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해양플랜트 특화산단 보다 부지 매입비가 낮은 청포 일반산단이 입주기업이 없어 사업자체가 불투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여러가지 여건을 종합해 본다면 사업이 순항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김재식 전략사업담당관은 "해양플랜트 특화산단이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 투자자가 국가를 신뢰해 많은 업체가 지원을 할 수 있다"면서 "또 LH공사가 참여한다면 일반기업의 투자참여도가 높아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담당관은 "LH공사 측이 자금난 등으로 사업 참여에 난색을 표하고 있지만 LH공사가 참여하지 않는다면 실수요 조합자체가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어 계속적으로 요청을 하고 있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삼성과 대우 측에 실수요 조합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