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민의 67%가 자녀 교육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결혼 후 내 집 마련까지는 평균 6.7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거제시는 시민들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관적 의식 변화에 관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경상남도와 함께 지난해 8월28일부터 9월13일 까지 15일간 실시한 '2013년 경남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시는 조사기간 동안 61개 조사구 1220가구를 대상으로 보건·체육, 인구, 소득·소비, 고용·노사 등 10개 부문 42개 항목을 조사했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7%가 자녀 교육비가 부담된다고 답해 시민 대부분이 교육비 지출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담요인으로는 보충교육비(78.7%)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교납입금(12.0%)으로 조사됐다.
자녀 1인당 월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평균 22만7400원이었다. 교육비 지출로는 하숙·자취·기숙사비(32만8200원), 보충교육비(26만2200원), 학교납입금(23만5300원)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35.4%)이 가장 많았고, 가구의 월평균 지출액은 100~200만원 미만(36.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래 가구 소득에 대해서는 전과동일(49.3%), 나아짐(37.6%), 나빠짐(13.1%)으로 응답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여성 취업의 장애요인으로는 육아부담(45.7%)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뒤를 이어 사회적 편견과 관행(17.7%), 불평등한 근로여건(16.9%)이 꼽혔다. 맞벌이 가구 가구주의 1주간 근로시간은 45~53시간(40.0%), 배우자의 1주간 근로시간은 36~44시간(38.0%)으로 조사됐다.
주택의 점유형태는 자가(58.2%), 보증금 있는 월세(21.2%), 전세(15.9%) 순으로 나타났고 현재 거주하는 주택형태는 아파트(63.4%), 단독주택(23.0%), 다세대주택(12.4%) 등인 것으로 집계됐다.
결혼 후 내 집 마련까지는 평균 6.7년이 소요되며 주택마련방법은 융자(45.5%), 저축(26.0%), 부모·친척 보조(22.3%) 등의 순이라고 응답했다.
의료서비스 만족도는 보통(45.2%), 만족(34.8%), 불만족(20.0%)으로 나타났다. 불만이유로는 치료결과 미흡(20.0%), 부족한 전문 의료 인력(14.1%), 불친절(13.5%), 비싼 의료비(12.4%), 긴 대기시간(11.9%)순이었다.
자녀입양에 대해서는 입양할 의사가 없음(42.2%), 잘 모름(32.7%), 출산이 어렵다면 적극 고려(12.9%) 등으로 조사됐다. 입양 반대의 가장 큰 이유는 현재 자녀가 있음(73.5%)을 들었다.
상·하수도, 소음·진동, 악취, 대기오염도 등 거주지 환경오염도에 대해서는 보통(58.9%), 만족(30.9%), 불만(10.2%)으로 응답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대중교통수단 이용은 보통(48.3%), 불만(31.8%), 만족(19.9%) 순이었고, 불만요인으로는 긴 배차시간(32.9%), 먼 거리 정류장(30.2%), 운행노선 부재(15.2%) 등이 꼽혔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할 사항으로는 물가안정(54.0%)이 많은 답변을 보였고 사회복지시설 확충(10.7%), 문화여가 시설확충(8.7%) 등의 순이었다.
노후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자(58.5%)들은 공적연금(53.3%), 예금·적금(20.0%), 사적연금(19.0%) 등을 노후자금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및 여가시설에 대해서는 보통(51.8%), 불만(37.0%), 만족(11.2%)으로 집계됐고 불만요인으로는 시설의 절대부족(65.7%), 프로그램 내용 빈약(12.9%), 경제적 부담(11.6%) 등을 꼽았다.
조선업체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71.6%), 보통(22.3%), 부정적(6.1%)으로 나타나 대체로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부정적인 이유는 외부인구 유입에 따른 민생범죄 가속화(41.5%), 환경오염 가속화(24.1%), 중공업 위주 산업편중 심화(18.5%) 등으로 나타났다.
거가대교 개통의 장점으로는 지역관광 활성화(35.8%), 교통량 분산효과(27.9%), 지역경제 활성화(18.2%) 등의 순이었고 단점으로는 교통혼잡 등 문제(27.8%), 물가상승(23.3%), 인구유출(19.4%)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