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헤는 밤
별 헤는 밤
  • 거제신문
  • 승인 2015.0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윤동주 作

▲ 박수현(38·양정동)
여고생 시절 처음으로 구입했던 시집이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였다. 윤동주 시의 소재가 된 하늘, 바람, 별 등은 감수성이 예민한 소녀의 감성을 자극하는 소재였다.

특히 '별 헤는 밤'을 시낭송으로 한 번 듣게 된 후 이 시를 특별하게 생각하게 된 것 같다. 시는 문학교과의 제재이고 열심히 외워야하는 교과의 일부였던 고교시절에 살아 숨 쉬는 텍스트로 나에게 다가왔다.

가을밤이 더 깊어지거나 별을 바라보게 되면 이 시를 떠올리게 된다. 윤동주 시인이 별을 바라보며 이 시를 완성해 갔을 그 날도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타향에 있는 자신을 생각하며 외로움을 느끼지 않았을까는 생각이 든다.

윤동주 시인은 서울에서 연희전문학교에 다니던 1941년 11월 5일 이 시를 썼다고 한다. 별을 바라보며 떠나온 고향 북간도를 떠올렸을 것이다. 하늘의 별을 하나하나 헤아리며 갖가지 추억도 떠올린다. 추억, 사랑, 어린 시절 친구들의 한국어 이름과 동화 속 주인공, 그리고 어머니…

이들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자신의 외로움이 표현돼 있다. 이렇게 닿을 수 없는 추억을 별과 헤아리며 어찌할 수 없는 슬픔을 나타낸다.

또한 자신의 이름을 쓰고 흙으로 덮어버리며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과 자책감을 표현한다. 식민지 치하의 현실에서 자신의 무력감을 부끄러워했을 것이다. 시인은 이런 나약함과 절망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시 마지막 구절에는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이라고 희망을 노래한다. 무덤 위 파란 잔디와 풀이 봄을 기다리듯 광복을 간절히 바랐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광복을 보지 못하고 윤동주는 동경에서 유학생활을 하다가 일본에 체포되어 감옥에서 짧은 생을 마감한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해야지 / 그리고 나에게 주어진 길을 / 걸어가야겠다'는 '서시'의 구절처럼, 시대를 고민하고 민족을 사랑한 젊은 시인이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위해 자신을 희생했던 것이다.

깊어 가는 겨울 밤, 바람에 흔들리는 별을 바라보며 윤동주를 그리워하게 되고, 그의 시에 빠져들게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