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담뱃값 인상 효과를 제외하면 물가상승률은 -0.1%까지 떨어져 사상 첫 '마이너스'로 추락한다. 저유가에 따른 공급 측 요인이 주원인으로 꼽히지만 물가하락 압력이 수요 측으로 번지면 디플레이션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각각 0.8%를 유지했지만, 2월 들어서는 이보다 더 하락하면서 3개월째 0%대를 기록했다. 이는 1999년 7월 0.3% 상승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나마 담뱃값 인상 효과가 있어 상승률은 플러스를 유지할 수 있었다. 2월 물가 상승률 가운데 주류·담배 기여도는 0.6%다. 이를 제외하면 물가 상승률은 -0.1%까지 하락한다.
이처럼 물가 상승률이 큰 폭 떨어진 직접적 원인은 저유가다. 품목별 물가 상승률을 들여다보면 공업 제품은 전년 대비 0.8% 하락했고 이 가운데서도 석유류는 무려 24.3% 떨어졌다. 이와 함께 전기·수도·가스요금과 농산물이 각각 2.5%, 2.3%씩 하락하면서 물가 상승률을 끌어내렸다.
공급 측면에서의 물가 하락이기에 섣불리 디플레이션을 언급할 수 없다는 게 정부 인식이다. 수요 측 요인으로 분류되는 근원물가상승률(농산물·석유류 제외)은 전년 대비 2.3% 상승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떨어진 것은 국제유가 하락 등 외부 요인에 주로 기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디플레이션은 물가 하락이 전방위적으로 나타나고 경제주체들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지를 바탕으로 판단한다. 현재 근원물가상승률은 2%대를 기록하고 있지만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지난해 11월 2.7%에서 12월 2.6%로 떨어진 뒤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꼭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아니더라도 저물가 기조가 장기화하면 세수 부족을 비롯한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다만 정부는 물가 상승률이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