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추천위원회도 열지못한 상황…임시이사회서 결정 예상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위원장 현시안·이하 대우노조)가 대표이사 선임 지연과 관련해 "정치권 등에서 낙하산 선임 시 강력한 투쟁으로 저지하겠다"고 선언했다.
대우노조는 지난 9일 서울 대우조선해양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우조선해양의 지분 31.5%를 가진 최대 주주이면서 선임의 결정권을 쥔 산업은행이 정부 눈치보기로 어떤 결정도 내리지 못하고 있다"면서 "여기에다 정부 역시 외화 획득의 효자기업인 대우조선해양에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람을 앉히기 위해 인선을 차일피일 미루면서 대우조선해양이 좌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통상적으로 임기만료 두 달 전에는 신임 대표이사가 선임되는 것이 관례였던 점에 비춰 사장 임기가 불과 20일 밖에 남지 않았음에도 이 문제가 매듭지어지지 않은 것은 결정권을 쥔 산업은행이 정부 눈치보기로 수수방관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우노조는 "2015년도가 두 달이 지났지만 임원인사를 비롯한 사업계획이 아직도 확정되지 않는 비상식적인 경영상황에 직면했다"며 "내부적으로는 생산에까지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우노조는 또 "사장 후보가 언론에 공개되면서 현장 곳곳에서는 대책 없는 줄서기와 선주의 신뢰가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하다"며 "지난 1월27일 산업은행을 방문해 회사발전에 저해하고 개인적 영달에 눈먼 경영자나 정치권 등에서의 낙하산 인사가 선임될 경우 강력한 투쟁으로 저지할 것을 명확히 밝힌바 있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2015년 현재 대우조선해양 내에서 근무하는 구성원들은 5만명으로 거제경제의 실질적인 버팀목으로 자리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산업은행의 무책임한 행태와 정부의 과도한 간섭이 매출 15조원의 대기업을 어려움에 빠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우노조는 기자회견 다음날인 지난 10일 KDB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대우조선 사장선임 촉구, 정치권 개입, 낙하산 인선 반대 직무유기 산업은행 규탄대회'를 열고 산업은행에 사장 선임을 촉구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9일 이사회를 열고 일반 경영 안건을 승인했지만 고재호 현 사장에 대한 유임이나 교체 안건을 상정하지 않았다.
회사 측은 "이달 31일 정기주주총회를 연다"고 밝혔지만, 주총 안건에 신임 사장 선임건은 포함되지 않았다. 상법(商法)은 '2주 전까지 주총 안건을 공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글로벌주식예탁증서(GDR)를 발행해 주총 3주 전까지는 안건을 공시해야 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사장추천위원회도 열지 못했다"며 "산업은행 홍기택 회장이 박근혜 대통령이 중동 순방에서 돌아온 후 임시 이사회를 열어 사장 선임 건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