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경제의 한 주축인 대우조선해양의 대표이사 선임을 거제시민은 매우 민감하게 주시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16일, 정기 이사회에서 3월 말로 임기가 끝나는 고재호 사장의 후임문제를 다루지 않고 현 사장의 직무대행 체제만 확정지었다. 직무대행이 경영의 공백이나 권한의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행'의 꼬리표는 회사의 분위기나 대우조선의 신뢰도, 그리고 해외 선주사들과의 마케팅에도 상당한 리스크가 될 수밖에 없다.
고재호 대표이사는 임기 중 우리나라 조선업계 '빅3' 가운데 유일하게 수주 목표를 초과 하는데 성공했다. 취임한 2012년 이후 매년 4천억 원 규모의 영업이익으로 다른 조선업체가 고전을 면치 못할 때에도 유일한 흑자경영으로 거제시민을 안심시키며 지역 경제에 톡톡히 효자노릇을 했다.
특히 고 사장은 강성으로 알려진 노조와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24년간 무분규 회사라는 대기록에도 방점을 찍을 만큼 큰 잡음 없이 조직을 이끌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권이 바뀔 때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외국 매각설이나 정치적 논리에 따른 사장 교체설은 대우조선의 근로자는 물론이고 지역민들에게도 불안감을 준다.
필요에 따라 필요한 사람을 대표이사로 선임해 조직을 이끌게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제 때에 대표이사를 선임하지 못할 특별한 상황이 있는 것도 아닌데도 이를 미뤄 대우조선 역사상 초유의 '대행'이라는 체제는 거기에 어떤 음모가 있을지 모른다는 의혹만 증폭시킨다. 만일 정치적 입김에 따른 검증되지 아니한 낙하산 인사가 이뤄진다면 거제시민의 반발도 만만찮을 것임을 경고해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