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음료가 올해 말까지 전국 초·중·고에서 퇴출된다.
또 내년부터 학교에서 급식을 제공할 때 각 영양소의 정확한 양을 표시해야
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학생 건강증진 대책’ 11대 과제를 수립, 2011년까지 5년 동안 시행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달 전국적인 실태조사를 벌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올 연말까지 학교에서 탄산음료를 완전히 추방키로 했다.
또 학생들의 식생활 관리능력을 키우기 위해 올 2학기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부터 전국 학교에서 학교급식 영양표시제를 시행한다.
한주 단위로 식단을 제공할 때 탄수화물·단백질·지방·비타민·칼슘 등 각 영양소의 정확한 양을 제공해 학생들이 먹는 음식의 영양 정도를 스스로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학교 매점과 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던 탄산음료, 라면, 튀김류 등 비만을 일으킬 수 있는 식품의 추방운동도 펼쳐진다.
교육부는 지난해 보급된 ‘비만예방 프로그램’을 전국 모든 학교가 운영토록 의무화해 보건·체육·영양교사가 학생 비만정보를 공유하면서 신체활동 증진 및 영양섭취 지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학생 비만율을 2005년 기준 18.2%에서 올해 17%로 줄이고 2011년에는 15%까지 떨어뜨린다는 목표다.
한편, 교육부는 2010년 학교의 건강 환경 수준을 나타내는 ‘학교 건강환경 평가제’를 도입하는 등 건강 및 학교 환경에 관련된 여러 정책도 추진하기로 했다.
학교건강 환경평가제는 교실 안의 공기 질, 먹는 물, 소음, 새 학교 증후군, 석면, 미세먼지 등 학교환경 유지·관리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내년 정책연구를 시작으로 학교보건법을 개정해 2010년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