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둔덕면 어구리 남동쪽의 제일 끝마을이 '아지랭이 마을'이다. 표준어로는 아지랑이 마을이라야 맞지만 지금도 이쪽 사람들은 아지랭이 마을이라고 부르고 있다. 한산도와 가장 가깝게 인접해 있고 저녁노을이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전에는 한산도가 거제도에 속한 땅이었고, 한산도와 거제는 서로 빤히 보이는 가장 가까운 곳이라 이곳 사람들은 이웃같이 왕래하면서 친하게 지냈다. 그런 탓으로 거제와 한산도 사람 간에 혼사가 많아 서로 사돈지간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산도 처녀 인물이 좋아
거제 총각 바람났네
연해 욕지 한바다에
임을 찾아 떠난 배야
임을 싣고 오실 적에
우리 님도 싣고 오소
이런 노랫가락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한산도 처녀들은 얼굴도 곱고 마음씨도 착하고 일도 잘해 며느릿감으로 인기가 높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거제 총각들은 한산도 처녀를 색시로 맞이하기 위해 안달이 났다.
어느 때 일이다. 지난 가을에 한산도에서 시집온 색시가 이듬해 봄이 되자 친정나들이를 가게 되었다. 친정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줄 차반을 준비해서 나루터에 나왔는데 마침 그날따라 아무리 기다려도 배가 오지 않았다. 친정 간다고 나왔는데 다시 시댁으로 돌아가기도 뭣하고 해서 색시는 바닷가 바위 틈 밑에서 하룻밤을 새고 내일 아침에 배가 오면 떠나려고 생각했다.
간혹 늦은 시각에 배를 기다리다 배가 오지 않으면 바위 틈 공간에 들어가 밤을 새우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런데 마침 그 때 어떤 중도 나룻배를 타려 나왔다가 배가 없으니까 이곳저곳을 두리번거리다가 색시가 있는 바위틈 바로 위에 자리를 잡고 누웠다.
당시 중들은 마을의 부녀자들을 희롱하거나 마음에 들면 업어 갈 때였다. 외진 나루터에서 젊고 예쁜 새색시를 중이 보았다면 그날 밤 그냥 두지 않았을 것이 뻔했지만 다행이 중은 색시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색시는 중이 옆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밤새 마음을 조이며 뜬 눈으로 지새워야했다.
중은 그날 밤 바람결에 풍기는 여인의 살냄새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거렸다. 자기가 누운 바로 아래 여인이 있다는 것을 상상도 하지 못한 채 여인의 살냄새는 봄이 되어 불어오는 꽃냄새로만 여겼다. 색시는 색시대로, 중은 중대로 온갖 망상이 스치고 지나간 밤이 지나고 두 사람은 다음날 아침 나룻배를 탔다.
배를 타고 나서야 새색시는 "휴" 하고 안도의 한숨을 길게 뿜어 낼 수 있었다. 만일 지난밤에 중이 바로 곁에 여인이 있은 줄 알았다면 인적이 아무도 없는 곳이라 틀림없이 겁탈을 하려 했을 것이고, 이를 반항하려는 여인을 죽였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니 참으로 아찔한 일이었다. 그 후부터 이곳을 아찔아찔하게 넘겼다 해 '아찔이 고개'라고 불렀고, 세월이 지나면서 '아지랭이 마을'로 바뀌었다.
이곳이 우리나라의 최남단으로 제일 먼저 봄이 오기 때문에 꽃이 먼저 피어난다고 '꽃바구미마을'이 있고, 꽃이 함박 웃는다고 '함바구미마을'도 있다. '아지랭이마을' 또는 '아지랑(阿支浪) 마을'은 지역이 뾰족하고 언덕이 가파른 갯마을이라는 뜻이 있지만 아지랑이가 다른 곳보다 먼저 생겨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름 속에 그럴듯한 이야기가 담기면서 우리에게 더 친숙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정리 : 윤일광 詩人(자료 : 거제향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