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 “하는거야 마는거야” 신뢰성 의문 제기
거제지역 6개 시민단체가 추진하는 김창성 거제시의원의 주민소환이 유야무야되면서 추진상황에 대한 시민들의 궁금증이 더해가고 있다.
시민단체가 ‘쓰레기 게이트’와 관련 김 의원을 주민소환하겠다고 천명한지 2개월이 지났지만 아무런 가시적 움직임이 없기 때문이다.
거제경실련, 거제YMCA, 거제농민회, 거제여성회, 거제YWCA, 민주노총 거제시협의회 등 6개 단체로 구성된 거제지역 시민단체 연대회의는 지난 7월 2일 거제시의회 정문 앞에서 ‘쓰레기 게이트 주범 김창성 의원 주민소환을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주민소환제라는 강력한 무기를 통해 20만 거제시민의 이름으로, 거제시민과 함께 김창성 의원을 소환함으로써 20만 거제시민의 구겨진 자존심과 시민주권을 회복하고자 한다”고 선언, 전국적인 관심을 모았다.
이와함께 주민소환에 공감하는 거제지역 모든 정당과 개인, 단체를 망라해 (가칭) ‘쓰레기 게이트 주범 김창성 의원 주민소환을 위한 범시민공동대책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또 박동철 거제경실련 대표를 주민소환청구인 대표로 내세워 조직을 갖춘 뒤 서명활동을 벌이는 등 주민소환 절차를 밟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시민 신모씨(47. 신현읍)는 “처음에는 범이라도 잡을듯하던 시민단체가 어떤 이유인지 몰라도 꼬리를 내리고 있다”며 “주민소환을 하는지 마는지 등 현재 추진상황정도는 주민들께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단체 대표자 몇몇이 모여 집회와 기가회견까지 하며 주민소환을 강력하게 주장하다가 이제 와서 ‘주민소환제가 현실성이 부족하고 난관이 많다’는 등 트집을 잡으며 구렁이 담 넘어가듯 유야무야 한다”며 “이번 사태를 보면서 시민단체의 추진력과 신뢰성에 의문을 느낀다”고 꼬집었다.
이에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서명요청활동 등 주민소환 참여대상자의 제한(공무원과 해당 선거 입후보예정자와 배우자, 그 직계 존비속 형제자매 및 배우자, 직계비속 형제자매 및 배우자 등과 이들이 설립, 운영하고 있는 기관, 단체, 시설의 임·직원 등은 제외)이 많고, 주민소환의 주요 변수로 예상되는 삼성·대우노조의 동참의사가 불투명해 적극적인 추진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민소환투표에 들어가는 선거사무비용 부담은 물론 주민소환이 실패할 경우 김 의원에게 면죄부를 주는 우를 범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털어놨다.한편 시민단체는 김 의원이 거제시 청소용역 불법 비리사건(일명 쓰레기 게이트)과 연루됐다며 지난 7월부터 주민소환을 추진해왔다.
금방이라도 주민소환 운동 할 것 같더니 왜 꽁무니를 빼는거지...
돈이 엄나 아님 용기를 일어버렷남... 제발 뭘 하나 하더라도 지대로 하는 시민단체가 돼야 헐 것ㅇ다.
경기도 하남시처럼 학실하게 하던가. 뭐하는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