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물이라는 것
첫물이라는 것
  • 거제신문
  • 승인 2015.0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금시아/ '시와표현' 시 등단

 고해를 한다
 죄질이 빈약한 항목부터 밑줄을 긋는다
 고해성사의 위력은 햇살보다
 자생 살균력이 강하다는 것,
 머릿속 민감한 기억이 초고속으로 살균된다
 망각은 접어 두었던 불편한 기억부터
 지워 버리는 습성이 있다
 
 봉헌할 땐 첫물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첫물을 아낌없이 봉헌한 걸 본 적 많다
 어머니의 장날 보따리는
 때깔 고운 진주 같은 땀방울 먼저 들고 달렸지
 되받아 온 첫물은 어둑한 밥상에서
 작은 숟가락들의 흰밥이 되었지
 희나리 때깔 당신은
 누런 삼베 한 필 걸치고 첫물이 되었을까
 
 명치 속의 죄책감이
 성호를 따라 옮겨 다닌다
 꽃잎 사이 겹겹이 접혀 있던 죄목들
 화르르 떨어진다
 어제를 지운 말간 오늘이 성당을 나선다.

·시 읽기: 시인의 돈독한 가톨릭 신앙심이 녹아들어 있다. 신앙심에 대한 성찰과 반성도 담겨 있다. 이를 시어 '고해성사, 봉헌, 첫물, 성호, 성당' 등을 통해 읽어 낼 수 있다. 특히 시어 '봉헌, 첫물'의 의미에 주목해 본다. 가톨릭에서 '봉헌'이란 하느님을 경배할 목적으로 자신과 자신의 소유물 중 '첫물'을 바치는 일을 의미한다. '첫물'이란 사람, 가축, 곡식 등 첫 수확한 것을 의미한다. 넓은 의미로 자신의 재물, 시간, 노동력 등도 봉헌의 대상이다. 우리 모두 종교를 떠나 자신에게 주어진 많고 많은 '첫물'의 의미를 더듬어보는 것도 좋을 성싶다.       (문학평론가 신기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