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민 "지하통로 박스 확장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반발
삼성중공업 기숙사 완공과 관련 조선 근로자들의 이동권 확보를 놓고 거제시와 장평주민들이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당초 거제시는 장평동 산24-6번지 일원에 건설되는 삼성중공업 기숙사 건립의 사업승인 조건으로 자전거 보행자 중심 육교 설치를 부여했다.
그러나 국도14호선 횡단 자전거육교 설치는 자전거 이동 불편, 연계도로 시설미비 등의 사유로 활용도가 미흡하다는 도로교통공단의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코아루아파트 입주민들도 사생활 침해와 안전사고 유발 등을 이유로 자전거육교 설치 계획을 철회해 달라는 민원을 시에 접수했다.
이에 따라 거제시는 용역비 2000만원을 들여 자전거 육교 건설을 대신하는 대안을 수립, 지난달 28일 장평동주민센터에서 설명회를 가졌다.
거제시가 마련한 대안은 크게 세 가지였다. 기존 장평육교를 자전거 통행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방안과 기상관측소 옆 지하통로를 양방향 통행에서 일방통행으로 변경해 자전거도로 및 보행자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 거원아파트 앞 교차로에 신호등을 설치하는 방안이었다.
시 관계자는 "당장 오는 10월 삼성중공업 기숙사가 완공예정이어서 자전거 보행자 중심 육교 건설 외 다른 대안을 적용하지 않으면 주민 불편과 교통사고 발생 등이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거제시의 설명에 장평동민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장평동민 A씨는 "더 이상의 육교 설치는 도시 경관을 헤치고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사생활 침해 논란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면서 "현재의 육교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달아 추후 발생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은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성토했다.
A씨는 또 "거제시가 제안한 거원아파트 앞 신호등 설치 방안 역시 설득력이 부족하다"면서 "국도14호선은 운전자들이 속력을 내는 구간인데 그 중간에 신호등을 설치하는 것은 오히려 교통사고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설명회 이후 현장을 거제시 공무원과 도로 현장을 방문한 장평동주민자치위원회 임태성 위원장은 "최근 대도시 도로에는 육교를 발견하기 힘들다"면서 "현재 설치된 육교도 주민들이 사용하지 않는데 자전거 육교가 설치된다고 해서 삼성중공업 기숙사에 거주하는 근로자들이 이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임 위원장은 또 "거제시의 제안도 어느 정도 타당하지만 육교 설치와 같은 임시방편 책에 동의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며 "현재 동민들의 의견도 나눠져 있는 상태여서 분란이 발생하지 않고 거제시도 동의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평동 발전협의회 정동훈 회장은 "거제시의 제안에 대한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우선시 돼야 한다"며 "현재 장평동민들은 삼성중공업 기숙사 건립과 관련한 거제시의 조건부 허가가 깊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지나간 일을 돌이킬 수도 없어 현재 거제시가 제안한 사항도 충분히 고려중"이라면서 "하지만 여러 이해관계 속에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에 대한 충분한 논의는 꼭 필요한 만큼 이 문제와 연관된 각 위원회와 협의회 회장단 회의를 통해 의견을 조율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