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과 연차에 따라 특별 위로금 지급…사무·생산직 대상
삼성중공업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상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지난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사무직과 생산직 모두를 대상으로 다음달 12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구체적인 인원 감축규모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1000명 가량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원, 고졸 입사자, 55세 이상 고령자 등이 대상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희망퇴직을 원하는 직원은 직급과 연차에 따라 상여금을 기준으로 특별위로금이 지급된다. 차장과 부장은 최대 2억원, 과장 1억6000만원, 대리 1억3000만원, 사원 1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앞서 삼성중공업 박대영 사장은 지난 15일 "희망퇴직은 상시적 시스템일 뿐 구조조정 차원이 아니다"고 못 박았었다. 희망퇴직에 따로 조건을 달지는 않겠다는 의미다. 이에 삼성중공업 관계자도 "구체적인 희망퇴직 규모나 시기, 위로금 지급 여부 등은 전혀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재 삼성중공업 내부에서는 이처럼 구체적인 희망퇴직 제반사항 외에도 퇴출조건 내지 규모, 임원 살생부 등이 공공연하게 떠돌고 있다. 박 사장 공언대로 기존 상시적 희망퇴직 시스템 체제 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양상이다.
앞서 삼성중공업 내부에서는 지난 9월 최근 사임한 임원 9명의 명단 및 MBA과정과 사내택시, 택배까지 중단한다는 내용의 원가절감안이 담긴 문서가 공개돼 혼선을 빚은 바 있다. 이 문서에는 희망퇴직 대상으로 승진누락 3회 및 하위고과 2회, 건강휴직자 등이 포함됐다.
이번 희망퇴직 조치가 개별적 권고사직 통보는 없다고 하지만 직원들로서는 충분히 구조조정 압박을 느낄 수 있는 상황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이번 희망퇴직이 강제성은 없다지만 괴소문이 빈번하다는 것 자체가 이미 상시적 수준을 넘어설 것을 방증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와 관련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 관계자는 "임금협상 이후 다시 추진되는 희망퇴직에 대해서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확인작업을 진행하겠다"며 "사측이 압력을 행사한 정황이 발견될 경우 이를 절대 간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퇴직위로금 등 일시적 인력감축 비용 마련을 위해 지난 10일 기전사업부 건물인 경기 화성사업장을 세메스에 310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충남 당진 철구공장 부지도 올해 안에 매각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