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는 끝났지만
선거는 끝났지만
  • 배창일 기자
  • 승인 2016.04.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배창일 편집국장
20대 총선은 여론조사의 무덤이 됐다. 여론조사 기관들이 실시한 여론조사의 예측이 완전히 빗나갔기 때문이다. 여론조사 기관들은 총선을 앞둔 마지막 주말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얻을 것으로 예상했다.

막상 투표함이 열리자 승부예측은 엉터리였다는 것이 이내 밝혀졌다. 유권자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가 오히려 유권자들의 혼란만 가중시킨 셈이다. 전체 판세만 잘못 예측한 것이 아니다. 이목이 쏠렸던 주요 승부처의 우열도 제대로 짚어내지 못했다.

여론조사는 객관성과 신뢰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방식으로는 여론조사의 문제가 있다는 점이 확연히 드러났다. 가장 큰 원인은 집 전화에 의존한 조사 방식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낮 시간대 집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사람들로만 여론조사가 실시되면서 특정 계층만의 응답만으로 결과를 집계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유권자의 대부분이 휴대전화를 쓰다 보니 응답률도 낮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휴대전화 안심번호를 활용하는 방법은 현행법으로는 불가능하다. 여론조사 기관에 지지 후보나 정당을 밝히는 것을 꺼리는 우리 문화도 여론조사 왜곡에 한몫하고 있다.

집 전화에 의존하는 여론조사 방식에 한계가 있다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모집단이 문제라면 모집단을 확대하고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여론조사와는 달리 방송사 3사 출구조사의 예측 결과는 실제 정당 의석수와 엇비슷했다. 실제 투표 결과와는 다소 달랐지만, 매우 근접한 예측을 해냈다는 평가다.

거제시선거구도 이 같은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하지 못한 후보자 측에서는 자체조사를 바탕으로 전체 판세를 점쳤다. 대체적인 여론은 새누리당 김한표 후보의 낙승이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변광용 후보 측은 조선 근로자들의 표심이 집결하고 있다면서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투표가 마무리되고 개표가 시작되기 전 방송사 3사의 출구조사 결과가 나왔다. 김한표 후보 44.6%, 변광용 후보 43.8%이었다. 방송사의 출구조사 결과에 김 후보 측은 당황했고, 변 후보 측은 환호했다.

김 후보 측에서는 방송사의 출구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애써 외면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개표 초반부터 김 후보는 선두로 나섰다. 보수 지지층이 대부분인 면 지역의 개표가 먼저 시작됐기 때문이다.

김 후보가 고향인 장목면에서 80%가 넘는 득표율을 보인 반면 변 후보는 고향 일운면에서도 김 후보에게 뒤졌다. 개표소에 참관하던 이들은 고향지역 지지율을 비교하며 김 후보의 당선에 무게감을 실었다.

한때 4000여 표 차이를 보이던 김 후보와 변 후보의 차이는 동 지역 개표가 시작되면서 줄어들기 시작했다. 조선근로자들이 몰려있는 아주동과 상문동, 수양동, 옥포동 등지에서 변 후보의 선전이 이어지자 역전될 수도 있겠다는 말이 나왔다.

투표 다음날 새벽까지 개표작업이 이뤄졌고, 투표소별 개표 결과 발표 때마다 두 후보 진영에서는 안도와 탄식, 환호와 실망이 교차했다.

개표 최종 결과는 4만4908표를 얻은 김 후보의 승리였다. 개표시간 내내 마음을 졸이던 김 후보 측 관계자들은 주먹을 불끈 쥐었고, 혹시나 하는 기대감을 저버리지 않았던 변 후보 측 관계자들은 고개를 떨궜다.

이번 선거에서는 투표율이 낮으면 보수 측이 유리하다는 속설도 깨졌다. 20대 총선의 최종 투표율은 52.6%로 지난 19대 총선 53.8%보다 1.2%, 2014년 6.4 지방선거 투표율 54.2%보다 1.8% 낮았다.

전국 투표율 보다 5.4%나 낮았지만 더민주 변 후보는 4만4178표를 얻으며 김 후보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하지만 730표차를 극복하지는 못했다.

이제 선거는 끝났다. 선거과정에서 불거진 문제점들을 극복해야 한다. 보수는 보수대로, 진보는 진보대로 선거로 인해 피곤해진 민심을 수습해야 한다. 당선인은 투표구별 득표수를 면밀히 분석해 민심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모든 후보자들이 한 목소리를 냈던 조선경기, 지역경기 회복에 속도를 붙여야 할 것이다. 유권자들은 당선인의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되지 않도록 늘 감시해야 한다.

선거는 끝났지만 유권자와 당선인 간 약속을 지키기 위한 여정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