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와 노회찬 원내대표가 조선업계 구조조정과 관련 지난 2일 거제를 방문했다.
이들은 대우조선해양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우조선노동조합, 대우조선해양 사내협력사협의회, 대우조선해양 경영진을 차례로 만나 인력감축 위주의 조선업 구조조정, 기간제 노동자 임금체불 및 실업 등을 포함해 조선업불황으로 인한 노동자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견을 나눴다.
기자회견 모두발언에서 심 상임대표는 "조선업 불황의 원인진단과 책임규명 없이 구조조정의 비용을 일방적으로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노동자들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하고 조선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잠재력을 보존하며 미래경쟁력을 키우는 구조조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 상임대표는 또 "부실의 책임과 비용이 사회적 약자에 전가시키지 않도록 국회 차원의 사회적 논의 기구를 만들어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제도개선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실질적인 고용안정과 실업대책 마련, 경영진·정책당국·회계법인에 대한 책임규명과 관련자 처벌, 국회차원의 사회적 논의를 통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 등 구조조정의 3대 목표를 내세웠다.
노 원내대표는 "조선과 관련된 모든 하청업체들을 포함한 조선업종을 즉각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채택해 줄 것을 촉구한다"며 "노동자를 살리고 제대로 된 경영을 할 수 있는 산업체제 재편을 위해 정의당이 앞장서겠다" 밝혔다.
정의당 지도부와의 만남에서 대우노조 현시한 위원장은 "임금·비용·시설 등의 재무적 측면에서의 구조조정은 조선업의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고 실직자만 양산하게 될 것"이라며 "특수성 분야의 분할매각은 중국으로 넘어가 전 조선산업이 중국으로 넘어가는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현 위원장은 "낙하산 인사로 인해 부실기업 방지기능을 못하고 있다"며 "사외이사 추천권, 노동자 추천 사내이사 추천권을 부여해 노동자의 경영감시 및 의사소통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대우조선해양 경영진과 면담한 심 상임대표는 기간제 노동자에 대한 지원과 실업대책 및 임금체불 해결을 위한 답변을 요구했다.
이에 정성립 사장은 "작년 말부터 도산연습을 통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충격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기간제 노동자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답했다.
정 사장은 "노동자의 일자리·일감 나누기·무급휴가 등을 통한 인력감축을 피해야 한다"며 "원칙적으로 모든 자회사를 매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협력사 임금체불 문제에 대해 정 사장은 "최우선으로 임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협력사의 임금체불 문제에도 신경 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