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으로 편의성 극대화…도민 누구에게나 택배서비스 제공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이 '공공도서관 정보시스템 통합 구축 사업'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도내 18개 시·군 24개 경상남도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에서 하나의 회원증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도서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2015년 12월부터 시작된 이번 통합 구축 사업의 완료로 통합전자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반응형 웹 통합홈페이지 등 통합서비스를 실시하게 돼 경남도민들이 질 높은 도서관서비스를 제공받게 됐다.
그동안 경남도민들은 거주지와 인접한 도서관만 이용할 수 있었지만 이번 통합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한 번의 회원 가입으로 24개 공공도서관 어디에서나 손쉽게 자료의 대출 반납이 가능하게 됐다.
또 각 도서관별 메뉴를 표준화하고 경상남도교육청 통합공공도서관 홈페이지를 구축해 모든 도서관의 자료를 한 번에 검색할 수 있으며 도내 독서문화행사 등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장애인 등 일부 계층에만 지원하던 택배서비스를 도민 모두에게 확대 제공하고, 가까운 도서관에서 타 지역도서관의 자료를 무료로 받아 볼 수 있는 상호대차서비스도 실시한다.
스마트폰 하나로 모바일 회원증 기능은 물론 바코드검색을 통한 대출 처리도 가능하게 됐다. 여기에다 희망도서 및 상호대차 신청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앱을 개발해 도민의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 도서관 이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통합 사업에서는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환경이 열악한 학교도서관과의 상생을 위해 웹(WEB)기반으로는 전국 최초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DLS)과 연계·구축했다.
이에 DLS에 가입한 이용자는 학교도서관에서도 공공도서관의 자료를 통합 검색할 수 있고, 필요한 책을 학교도서관에서 바로 받아볼 수 있게 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 소속 도서관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감으로써 도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아 행복한 책 읽기를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