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된다
거제도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된다
  • 배창일 기자
  • 승인 2007.11.16
  • 호수 1
  • 1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 해안 쓰레기 원인분석 통해 근본적 처리방안 정부에 건의

2억원 들여 낙동강유역 해양쓰레기 책임관리 연구용역 1년간 시행

거제지역 해안 일대가 해양쓰레기장으로 변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보도<거제신문 781호(10월25일자) 5면> 후 거제시가 문제해결에 적극 나섰다.

시는 최근 정부에 낙동강 하구 인근 지역에 위치한 장목, 옥포, 장승포, 일운 등 해안변 유입쓰레기 원인분석을 통해 근본적 처리방안을 건의했다.

시에 따르면 거제지역 해안가 해양쓰레기의 약 80%가 낙동강수계에 따라 기인된 것으로 추정하면서도 거제시를 비롯한 낙동강하구 수계에 위치한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예산부족 등으로 해양쓰레기 처리에 애로를 겪어왔다.

낙동강 상류 수계주변에 위치한 대구, 경북, 부산시 등을 상대로 원인자 부담은 물론 이를 거부할 시 전액 국·도비로 쓰레기 처리비를 지원해줄 것을 계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특히 거제시는 지리적으로 낙동강 하구 수역에 위치, 매년 태풍내습 및 집중호우 때 육지 생활쓰레기가 바다로 대량 유입돼 해양오염이 심해지고 있다.

태풍이 없었던 올해 67개 어촌계 어업인과 환경단체, 공무원 등 연인원 1천8백여명이 도서·낙도를 비롯한 모든 연안의 침적쓰레기 4백10톤을 수거, 처리했다.

또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유례가 없는 어촌계별 자율정화대회를 매년 추진하고 연말에는 우수어촌계를 선정, 상 사업비를 지급함으로써 지선 어업인의 자율적인 동참을 유도하기도 했다.

▲ 매년 거제지역 해안일대에 밀려드는 해양쓰레기 처리문제가 정부에 건의되면서 쓰레기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파악과 책임관리 연구가 진행된다.
이와 함께 내년 1월까지 잔여 침적 해양쓰레기 수거 처리 기간을 설정하고 지선 어촌계별 자율적 정화사업 실시를 유도하는 한편 사등면 노루섬, 장목면 이수도 등 오염이 심한 도서지역은 시 주관으로 연말까지 일제 수거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내년에는 특수시책으로 스킨스쿠버 동호인과 연계해 주요어항, 낚시터 등을 대상으로 자율정화단협의회를 구성, 연중 해저 정화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시는 2003년 태풍 ‘매미’ 3천8백91톤 10억5천만원, 2005년 태풍 ‘나비’ 8백32톤 9천9백만원, 2006년 태풍 ‘에위니아’ 1천89톤 1억4천1백만원을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비용으로 집행했다.

여기에다 해양수산부가 2억원을 들여 낙동강유역 해양유입쓰레기 책임관리 연구용역을 시행하겠다고 밝혀 해양쓰레기 문제해결에 한발 더 다가설 전망이다. 용역기간은 1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앞서 해수부는 2005년 7월20일 낙동강 상·하류 수계에 위치한 광역시·도, 시·군 단체장의 육상쓰레기 해양유입 관련 대책회의에서 육상으로부터 유입된 해양쓰레기 처리대책은 해수부에서 총괄 지휘하겠다고 밝혔었다.

이어 지난 9월28일 해양수산부, 환경부, 부산시, 대구시, 경북도, 경남도를 중심으로 낙동강유역 해양쓰레기유입 책임관리 협의체 구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또 10월23일에는 MOU 체결에 따른 관계기관 실무협의회를 열어 올해 중으로 경남 부산 대구 경북 등 4개 시·도에서 추천하는 연구기관 합동으로 낙동강유역 해양유입쓰레기 책임관리 연구용역을 시행할 것을 밝혀 그 동안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던 해양쓰레기 처리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