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노동조합(위원장 홍성태·이하 대우노조)이 최근 진행되고 있는 구조조정에 대해 "희망퇴직·분사·아웃소싱 등 일방적 구조조정을 반대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대우노조는 지난 17일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회사와 구성원이 같이 살고 조선업과 국가경제를 살리고자 노조와 회사·채권단·정부가 참여하는 4자 협의체를 구성해 구조조정 전반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홍성태 위원장을 비롯한 대우노조 집행부와 거제시의회 한기수 부의장과 야당 시의원, 거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허철수 대표가 자리를 함께 했다.
홍 위원장은 "현재 정부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조선업 구조조정은 노동자인 당사자가 배제된 일방적 자구계획안으로, 지역에서는 고용대란과 구성원의 고용불안이 커져가고 있다"며 "이로 인해 숙련된 노동력과 기술력이 단절되고 우수한 인적자원의 해외유출 우려 등으로 조선업 전체 경쟁력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국가경제를 견인한 조선산업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사양산업으로 인식하고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홍 위원장은 또 "구성원의 절반이 넘는 인원이 구조조정 희생양이 됐다"면서 "대우조선이 경영부실로 이어지게 된 것은 국내 조선업체 간 과다경쟁 및 해양프로젝트 저가수주, 설계 기술인력 부족, 미숙련 노동자 중심의 인력운용 등이 원인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낙하산 인사투입과 방만한 경영 등의 이유로 위기에 빠졌지만 그 누구도 잘못이 없다며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우조선의 수주잔량은 121척으로 동종사보다 많고 2018년까지 안정적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있지만 현재 추진하고 있는 자구계획대로라면 현장에 일할 사람이 없어 배를 만들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우수한 기술력과 숙련된 노동력이야말로 조선산업의 핵심이자 미래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대우노조는 기자회견에서 총 6가지를 제안했다. △노조·회사·채권단·정부가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조선산업 지원육성정책과 대우조선 정상화를 위한 채권단의 신속한 자금지원 △비전문가 낙하산 인사배제 및 자율경영 보장 △경영부실 원인규명과 책임자 처벌 △인적 구조조정 중심으로 한 동종업종 간 합병 반대 △특수선 분할 및 해외매각 반대 등이다.
특히 대우노조 집행부는 "4자 협의체만 결성된다면 노동조합이 얼마나 희생을 더 할지 논의할 수 있다"며 4자 협의체 구성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지난 7일 대우조선해양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의 간담회에서 올 연말까지 생산직을 포함한 1000명의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분사·아웃소싱을 통해 2000명을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오는 2018년까지 정년퇴직자 감소분 1600명과 특수선 물적 분할로 1200명의 인원이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