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업 불황이 지속되면서 지난 8월까지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가 751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체불임금은 347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통영지청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8개월간 체불임금은 모두 34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48억원에 비해 134.5%(199억원)가 증가한 것이다.
또 이 기간 동안 임금을 받지 못했다고 신고한 근로자는 7519명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645명과 비교해 106.3%(3874명)가 늘어난 수치다.
특히 지난 8월 한 달 동안 임금체불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부터 7월까지 체불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는 5666명, 체불임금은 255억원으로 월 평균 809명, 36억4000만원이었던데 비해 지난 8월에는 1853명의 근로자가 임금을 받지 못했고 체불임금도 92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이와 함께 근로자가 사업장 도산 등을 이유로 임금이나 퇴직금을 받지 못할 경우 정부(근로복지공단)가 먼저 사업주를 대신해 일정한 한도 내에서 우선적으로 지급해주는 체당금 지급 역시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체당금 규모가 커진다는 것은 고용상황이 불안한 것을 의미한다. 올해 들어 지난 8월까지 체당금 지급액은 모두 111억1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86억원에 비해 45억6000만원(69.6%)이 증가한 것이다. 2014년 1월~8월까지 체당금 지급액은 21억2000만원으로 파악됐다.
올해 8월까지 체당금을 받은 근로자는 41개사 243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92명이 늘었다. 2015년 1월~8월까지 체당금을 받은 근로자는 35개사 1438명이었다.
통영지청 관계자는 "조선불황이 지난해 말부터 감지되기 시작해 올해 수주절벽까지 이어지면서 협력사들의 파산과 함께 체불임금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며 "조선업계의 수주량이 더 증가하지 않을 경우 일감 감소에 따른 인적 구조조정 및 협력사 파산 등으로 임금체불 추세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통영지청 관할은 거제와 통영·고성 등 3개 시·군으로 체불임금 신고 근로자들 대부분은 세 지역의 조선업 관련 근로자들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