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설비 23% 줄여…스마트선박·핵심기술 개발

정부가 현재의 '조선 빅3'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조선산업을 분석·조사해본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의 설계·건조역량·기자재 국산화율 등이 경쟁국보다 우위에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대신 건조설비와 인력을 대폭 감축하고,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한 핵심역량 집중·유망 신산업 발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정부는 조산선업을 선종별로 분석한 결과 경쟁우위, 적자지속, 경쟁열위 등 3개 분야로 분류됐다고 설명했다. 경쟁우위는 대형 컨테이너선, 대형 탱커, LNG선, LPG선 등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고수준의 설계, 건조역량, 높은 기자재 국산화 등은 경쟁국에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적자지속 분야는 해양플랜트, 경쟁열위 분야는 중소형 탱커·컨테이너선, 벌트 등이 포함됐다.
이에 정부는 각 조선사별 구조조정과 함께 수주절벽을 위한 수요창출 방안을 마련했다. 오는 2018년까지 조선 3개사의 건조설비를 23%, 인력을 32% 각각 감축키로 했다.
또 조선사별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핵심역량에 집중하고 유망 신산업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민영화, M&A 등 산업재편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수주절벽을 대응하기 위해 11조원 규모 250척 이상의 선박을 오는 2020년까지 발주하기로 했다.
우선 2018년까지 7조5000억원 규모의 군함·경비정 등 공공선박 63척을 조기에 발주하고, 3조7000억원의 자금을 활용해 2020년까지 75척의 발주를 지원할 계획이다. 금융지원을 통한 중소형선박 115척도 지원한다.
경쟁력 우위 부문은 집중 지원해 고부가가치화, 경쟁력 열위 부문은 역량을 보완키로 했다. 대형선종 세계점유율을 현재 65%에서 75%까지 확대하기 위한 지원과 함께 2400억원을 투입해 2020년까지 ICT 융합을 통한 스마트선박·스마트조선소의 핵심기술을 확보키로 했다.
연 1000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선박서비스산업에 국내 조선산업을 포함하기 위해 선박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사업재편 자금 등 2조7000억원을 활용해 대형선박 수리자급률을 현재 1.3%에서 10% 이상으로 확대하고 3대 해양플랜트 유지·보수 핵심기술 개발, LNG벙커링 사업 법적 허용, 민관 공동 DPC 설립 등으로 시장을 개척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정부의 방침에 대우조선노조는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일방적 구조조정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밝혔다.
대우노조는 지난 1일 성명서를 통해 "조선 빅3체제 유지는 당연한 결정"이라면서도 "설비와 인력을 대대적으로 감축하겠다는 방안은 조선산업을 사양산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대우노조는 "정부의 일방적인 구조조정 계획에는 사람을 자르고 설비를 축소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회사를 살리기 위해 전 구성원들이 고통분담에 동참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없애고 생산설비를 처분하겠다는 것은 대우조선해양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동종업체 합병 또는 매각 의도가 숨어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고 수주부진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선결조건 없이 출자전환을 통한 자본확충으로 재무건전성을 확보해야 하고 추가자금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노조·회사·채권단, 정부가 머리를 맞대 회사와 구성원을 살리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