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유가, 원자재가 상승에 관심을

이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거제시의 중심축인 양대조선소는 지금 환율, 유가, 원자재가 상승으로 기업경영에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으며 경영수지 장기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면서 “거제시에 있어서 조선해양산업은 거제시민 절대 다수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여기에 문제가 생긴다면 우리 거제시와 시민은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조선해양산업은 국제환경변화에 따라 경기가 급격히 변동, 거제시 자체적으로 대응책을 수립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지만 거제시민 절대 다수의 안위와 관계되는 일을 양대 조선소에만 맡겨놓고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선소가 잘 돌아가게 신속한 행정지원책은 물론, 기업하기 좋은 인프라 구축,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되도록 직·간접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7개월째 끌고 있는 ‘옥포지역 대우조선해안로의 신속한 의사결정’, 한내공업단지 진입도로 4차선 조기 확·포장, 양대조선소 및 조선협력사 기숙사 부지 염가 제공으로 안락한 주거환경 마련, 거제대학 및 거제공고 시설을 활용한 사회인 생산 기술인력 양성 보급,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공간이 될 근로복지회관 건립, ‘조선소의 날 지정’을 통한 다채로운 행사 등으로 ‘조선소 근로자 기 살리기’ 등 찾아보면 할 일이 너무나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학교 수도요금 50% 감면하자

김 의원은 이날 “현재 학교의 공공요금 중 전기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고, 상수도 요금이 그 다음으로 지난해 각 학교에서 낸 상수도 요금의 총액은 2억4천2백만원으로 전체 학교 예산의 3.1%를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학교는 사용자는 많지만 하나의 세대로 처리돼 가장 높은 누진율이 적용되고 있고, 수업이 없는 야간이나 휴일에는 많은 시민들이 운동장과 체육관을 이용하고 있어 주민들도 각 학교의 상수도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상수도 요금을 감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거제시 청소년들의 교육환경개선을 위해 무상으로 상수도를 공급할 순 없지만 학교 상수도 요금을 50% 감면해 주도록 ‘거제시 수도 급수 조례’를 개정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의원의 끈질긴 노력으로 고압선 철거
전남 순천시 도심 상공을 가로지르는 고압송전탑이 한 시의원의 끈질긴 노력으로 철거된다.
한국전력공사 광주전력관리처는 7일 "박병선 순천시의회 의원을 비롯한 연향동주민들의 건의에 따라 연향동에 설치된 15만4천V의 고압송전탑들을 모두 없애고 전선을 지중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전은 2007년 말까지 170억원을 들여 연향동 순천변전소를 기준으로 동서 4.2㎞의 도로변 지하에 전선을 새로 매설해 전력 공급 체제를 완료한 뒤 2008년 초 14개 철탑을 철거한다는 것이다.
한전 관계자는 "박 의원 등의 4년에 걸친 꾸준한 건의와 국회 열린우리당 서갑원(순천) 의원 등의 촉구에 따라 철탑들을 제거키로 한 것"이라며 "철거되면 도시미관과 환경 개선은 물론 철탑 주변 사유재산권 행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송전탑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TV나 라디오, 무선전화기를 제대로사용할 수 없고 건강에도 문제가 많으며 고압선 때문에 3층 이상 건물의 신축에도제한을 받고 있다'며 2002년 주민 1만2천여 명의 연대서명을 받아 한전측에 송전탑이설을 요구했다.
그는 또 지난해 11월 시의회에서 자신이 제의한 송전탑 이설을 위한 특별위원회구성이 받아들여져 위원장에 선출되자 시 집행부와 한전은 물론 행정자치부와 산업자원부 등 정부 부처 10여 곳을 방문해 철거를 설득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펴왔다.
연향동 일대는 송전탑이 설치된 1960년대에는 농경지였으나 최근 3만여 명이 상주하고 하루 유동인구가 수십만 명에 이르는 신도심으로 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