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식 거제시의회 의장이 조선산업의 미래를 위해 정부의 통 큰 결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또 조선현장 역시 새로운 패러다임의 노동현장 문화와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 의장은 지난 18일 언론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반 의장은 기고문을 통해 "지난달 31일 발표된 정부의 조선산업경쟁력 강화방안은 원천적 처방보다는 땜질성 방안에 가깝다"고 비난했다.
그는 "당장 조선업계는 수주가 없어 극심한 유동성위기에 내몰리고 있지만 정부는 조선경기 부양책으로 공공선박 7조5000억원을 2018년까지 발주하고, 2020년까지 해운사가 컨테이너·벌크선 등 3조7000억원을 발주하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면서 "현실적으로 지금 당장 국가가 나서 20조원 정도의 선박발주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반 의장은 "최근 구조조정이라는 칼날 앞에 내몰린 조선3사의 경우 인력 위주의 감축 보다 하루빨리 정부발주를 통해 숨통을 틔어줘야 한다"며 "구조조정이라는 미명하에 그동안 피땀흘려 키워 놓은 알짜배기 숙련사원들을 마구잡이로 잘라내는 근시안적 대책이야말로 희망을 절망으로 바꾸는 말도 안되는 처사일 뿐"이라고 밝혔다.
반 의장은 "이번 정부 발표에는 앞으로 난이도가 높은 조선 현장과 지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구체적인 해답을 찾아볼 수가 없다"며 "결국 구체성이나 현실적 대안이 되지 않다보니 정부가 대책을 내놔도, 현장에서는 그저 메아리 없는 공허한 외침으로 들리는 것"이라고 질책했다.
조선소 경영진의 구조조정 해법도 제시했다. 반 의장은 "조선소 경영진은 사즉생의 각오로 수주에 임하고 사무·현장직의 구분을 뛰어 넘어서 함께 손발을 맞춰 나가야 한다"며 "근로자를 쫓아내기보다는 사원 전원에게 3~4개월씩 순환보직제를 도입하면 더 이상 인력 위주의 구조조정은 안 해도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상적 임금을 지급할 수는 없지만 이 기간 동안 마인드교육, 휴식을 겸한 체력단련, 기술연마 등을 통해 '나도 할 수 있다'는 새로운 정신으로 생산현장에 복귀토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선 근로자 가족들에 대한 당부도 잊지 않았다. 반 의장은 "할 수 있는 쉬운 것부터 바꿔 나가야 한다"며 "근로자들도 출근 시 휴대폰을 일정 보관장소에 맡겨두고 각자의 일에 집중하면 생산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