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제지역 어민들이 지난 15일 정부의 남해안 바닷모래 채취기간 연장에 항의하는 규탄대회를 열었다.
거제수산업협동조합 주최로 동부면 가배리 가배어촌계 물양장에서 벌어진 이번 집회는 김선기 거제수산업협동조합장과 윤길정 남해EEZ 모래채취 반대 공동대책위원장, 이정생 전 거제수협 비상임감사, 어업인 대표 등 어업인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정부가 지난 2월 28일 전국 어업인들의 결사적인 반대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의 채취 중단 결의문 채택에도 불구하고, 건설업계 및 국가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이유로 남해 EEZ 골재채취단지 기간연장을 끝내 강행하고 말았다며 구호를 외치고 어선을 동원해 해상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환경을 보전하고 자원을 지키며 육성해야 할 의무가 있는 정부가 수십년간 바다모래 채취를 계속 추진해 어업인 삶의 기반을 송두리째 흔드는 주체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김선기 거제수협 조합장은 "지금 수산산업은 총제적 위기에 처해 있으며, 특히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2만톤에 그치며 44년만에 처음으로 100만톤이 붕괴되면서 어업인과 수산산업 종사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며 "바다모래 채취는 어장파괴와 수산자원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 어업인과 수산산업을 넘어 국민의 식생활과 안전 그리고 생명과 직결되므로 남·서해 EEZ 골재채취단지 기간 연장을 더 이상 허가해서는 안 되며 당장 채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남해EEZ바닷모래채취대책위는 이날 전국에서 동시 규탄대회를 열었으며, 바닷모래의 채취가 중단될 때까지 투쟁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들은 지난달 27일 해수부가 골재채취단지 내 바닷모래를 1년간 650만㎥ 채취하는 입장을 밝힌 후 항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반면 건설업계는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되면 골재 수급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지고 이는 건설 현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한다. 비수도권에서는 경남·부산·울산 등 동남권의 건설수요가 많고 건설 현장에 투입된 골재 대부분을 남해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서 조달해왔다. 이 지역에서 사용하는 하루 레미콘량만 2만5000∼3만㎥나 된다.
강이나 산림에서 채취할 수 있는 모래는 상대적으로 비싸기도 하지만 채취비용이 더 비싸다. 다른 지역에서 가져오는 방법도 있지만 모래가격에서 운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단가가 높아진다.
업계에서는 한반도 서부권에서 모래를 가져오면 1㎥당 가격이 기존 1만6000원에서 3만5000원으로 급등하기에 현실적으로 남해 앞바다에서 채취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