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제시에서 문재인 대통령 생가 복원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를 두고 섣부른 성역화라는 의견과 관광 마케팅 요소로 즉각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상충되고 있다.
성역화라 일컬은 이들은 문 대통령 취임이 채 한 달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생가복원 얘기가 너무 이르다고 지적했다. 상징적인 공간은 공감하나 친 서민, 탈 권위를 내세우고 있는 현 정부의 흐름과 방향이 다르다는 주장이다.
특히 그동안의 정권에서 생가복원이 지나친 성역화·우상화를 불러와 반감을 일으켰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시민편의를 위해 우선으로 쓰여야 할 거제시 예산이 정치적으로 쓰이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까지 밝혔다.
반면 한편에서는 조선업을 대체할 산업으로 관광산업을 목표로 삼은 거제시가 문 대통령 생가를 관광요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 정권 지지율이 상승세에 따라 문 대통령 생가에 대해 관심이 높아졌을 때 거제시의 다양한 관광지와 접목시켜 관광객을 끌어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실제 지난 24일 오전 11시까지 오전동안 문 대통령 생가를 찾은 방문객 100여명 중 거제시민은 일부에 불과했다. 대부분이 서울과 부산 등에서 오는 관광객으로 전국에서 문 대통령 생가를 보기 위해 찾아오고 있었다.
이정일씨(47·경기)는 "거제시에서 생가를 복원한다고 했을 때 상당히 우려스러웠다. 현재 지지율이 상당하지만 그 지지율은 언제든 유동적이므로 중앙정부에서 조심하고 있는데 거제시에서 굳이 산통을 깰 필요는 없을 듯하다"고 강조했다.
통영에서 온 김현진씨(41)는 "평일 낮이라 사람이 없을 줄 알았는데 꾸준히 방문객들이 있어 놀라웠다"며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려는 거제시의 심정이 이해됐다"고 말했다.
한편 거제시의 생가 복원 소식에 청와대에서 우려와 난감을 표한 가운데 거제시는 장기적으로는 생가 복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지만 당장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현재의 형태에서 방문객이 불편을 겪고 있는 도로확장과 같은 편의시설만 정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방문객들도 불편함을 토로하는 부분이다. 정재훈씨(53·부산)는 "거제면까지만 오면 여기저기 표지판이 설치돼 있어 생가까지 오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다시 돌아 시내를 나가려 할 때는 농로와 같은 길이 계속 이어져 당황스러웠다"며 "인근 도로정비가 우선적으로 시행돼야 할 듯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도로과 관계자는 "현재 생가 인근 도로 확·포장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예산이 수반돼야 하는 사업이라 시일이 걸리겠지만 관광객과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광과 관계자는 "문 대통령 생가는 고 김영삼 대통령 생가와 연계해 거제시만의 특색있는 관광자원이 될 수 있어 다양한 활용방안을 고려중에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