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시, 지역 이미지 하락 우려 속 "원활한 합의 기대…"
마을 주민 "바람의언덕, 도장포마을 전체 주민 노력으로 일궈진 곳"

남부면 바람의언덕 토지 관리자 측이 오는 20일부터 일반인 출입통제를 선포한 가운데 개인재산권 보호와 국립공원 활용을 높고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모양새다.
지난 1일 바람의언덕 출입구를 중심으로 인근에 경고 표지판과 현수막이 내걸렸다. '바람의언덕 이곳은 사유지이므로 출입을 금지합니다'로 시작하는 문구는 무단으로 출입할 경우 법적 조치될 수 있음을 알렸다.
평일에도 수백명이 찾아오는 관광지인 바람의언덕에 갑작스런 출입통제 안내문의 파급은 컸다. 인근 가게에는 방문객 80% 이상이 들어가도 되는지 물어왔고 관할부처인 거제시청과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문의전화도 잇따랐다.
현수막을 내건 토지 관리자 정모씨(53)는 "거제시와 사유지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인력을 동원해 출입을 전면 통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년 동안 사유지 출입문제와 관련해 거제시와 협의하려고 했지만 거제시는 바람의언덕이 한려해상국립공원이라며 국립공원 측에 책임을 떠넘겨와 이 사태까지 끌고왔다"며 "무분별한 개발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바람의언덕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바람의언덕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동 건축물만 세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다른 부지에 대해서는 개발하지 않겠다는 법원 공증도 하겠다고 했지만 시는 반대 입장만 밝힐뿐 협의해 나갈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거제시 관광과는 "바람의 언덕 부지가 국립공원관리공단 소속 한려해상국립공원이기 때문에 부지 개발에 대해서는 거제시는 의견만 제시할 뿐 결정권은 없다"며 선을 그은 뒤 "수차례 협의해오면서 절충안을 제시했지만 매번 거부당해왔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바람의언덕이 유명관광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천혜의 자연경관도 한 몫 했지만 섬&섬길 조성이나 풍차 설치, 홍보 등 거제시의 행정력도 기여했다"며 "거제 대표관광지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 거제시에서도 수차례 부지매입을 하려고 노력해왔지만 토지 소유주나 법률 대리인이 무리하게 높은 금액을 제시해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관광거제로 나아가고 있는 현재 이런 사태가 발생해 관광거제 이미지가 하락될까 우려스럽다"며 "원활한 협의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거제시 관광과는 우선적으로 도장포 마을 곳곳에 설치된 출입통제 현수막과 안내 표지판부터 토지 관리자와 협의해 해체해나갈 예정이다.
출입통제 논란으로 피해를 입는 쪽은 바람의 언덕을 중심으로 상권을 형성한 마을 주민들과 거제를 방문한 관광객이다.
김재호씨(27·부산)는 "바람의언덕은 거제에 놀러올 때마다 꼭 들리는 곳인데 갑작스런 출입통제 표지판에 놀라 들어가도 될지 망설였다"며 "바람의언덕이 사유지인 줄은 몰랐는데 유명한 관광지가 소유주 개인의 재산권 사수로 한순간 출입이 통제된다면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강세빈씨(34·대구)는 "멀리서 관광하러 왔는데 어떻게 거제시는 일이 이 지경이 될 때까지 뒀는지 모르겠다"며 "무서워서 바람의 언덕에 들어갈 수 있겠나"라며 지적했다.
이처럼 들어가도 되느냐고 묻는 관광객들을 마주하는 도장포마을 주민들은 난처할 따름이다.
마을주민 A씨는 "바람의언덕이 사유지이기는 하지만 몰려드는 관광객으로 주차난과 각종 불법쓰레기 무단투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장포마을 주민들이 앞장섰다"며 "바람의언덕을 찾는 관광객들이 이곳에서 좋은 추억을 만들고 재방문으로 이어져 지역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랐는데 주민들에게 일언반구도 없이 출입을 막으려고 하는가"라며 울분을 토로했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토지 관리자인 정모씨 개인의 이권 때문에 그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게 됐다"며 "거제시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현명하고 조속한 해결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