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의, 조선업에도 적용될까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의, 조선업에도 적용될까
  • 최윤영 기자
  • 승인 2017.0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우조선해양 비정규직 98명…삼성중공업 비정규 357명

최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각계의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거제지역 조선업계도 이를 주목하는 분위기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등 양대 조선소 직영인력의 비정규직 비율은 높지 않지만, 협력업체의 비정규직 비율은 그보다 높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직영인력의 비정규직 비율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대우조선해양의 1분기 기준 정규직 근로자는 1만370명이었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98명이었다. 삼성중공업 소속 정규직 근로자는 1만1301명이었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357명이었다.

울산에 주요 사업장이 있는 현대중공업도 정규직 근로자가 1만3974명, 비정규직 근로자는 949명으로 비슷한 상황이다. 그렇지만 거제지역 양대 조선소에서 일하는 협력업체 직원들은 사정이 다르다.

양대 조선소별로 각각 2만5000여명 정도의 인력이 일하는데다가 협력업체의 경우 비정규직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양대 조선소 밖에서 일하는, 조선기자재 등 협력업체 근로자 중에서도 비정규직이 많다.

업계에서는 조선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의는 우선 양대 조선소 안에서 일하는 협력업체 근로자가 대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른바 '동일노동 동일처우'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의의 중요한 기준점이라서다. 같은 사업장에서 일하는데 누군가는 정규직이고 누군가는 비정규직으로 다른 처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논리다.

그렇지만 양대 조선소 사업장에서 일하는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본사 직영인력과 동일노동을 하는지에 관해서는 견해가 엇갈린다.

업계에서는 대표적인 중후장대형 노동집약산업인 특수성을 고려하면 같은 배를 만들어도 각자 하는 일은 전혀 다르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협력업체 직원들은 주로 용접, 배관, 배선, 도장 등 손이 많이 가는 작업에 주로 투입되고 있다.

게다가 대형선의 경우 축구장 넓이 몇십배 덩치를 자랑하므로 이를 하나의 작업장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양대 조선소 협력업체 직원의 정규직화에 대해 취지는 좋지만 현재 구조조정 중인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세계적인 조선산업 불황으로 양대 조선소가 직영 정규직 인력도 줄이는 마당에 협력업체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에 나설 여력이 없다는 얘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같은 배를 만든다고 해서 같은 업무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개선은 좋은 일이지만 업계의 처지를 고려하면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