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산매각과 인력 구조조정 등 자구책으로 회생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대우조선해양의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직원들의 회삿돈 횡령 배임사건이 또다시 터졌다.
지난해 180억 상당의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로 1심서 징역 15년을 받은 임모씨 사건에 이어 이번에도 현장 책임자와 직원들이 납품업체와 결탁한 납품비리 사건으로 소모품을 적게 받고도 정상적으로 받은 것으로 허위작성하고 받은 물건을 다시 빼돌려 되받는 수법으로 확인 된 금액만 8억 원에 달한다.
거제경찰서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현장책임자 A씨는 2015년부터 최근까지 소모성 자재를 납품하는 업체 대표와 공모, 정상 납품 수량보다 적게 납품 받고도 정상 수량이 납품된 것으로 승인하는 수법으로 회사에 3억2000만원 상당의 재산상 손해를 입힌 혐의를 받고 있다.
또 납품담당 직원 B씨 등 7명은 2013년부터 업체가 납품한 자재를 몰래 빼돌려 납품업체에 전달, 다시 해당 제품을 재 납품 받는 수법으로 4억9000만원 상당을 횡령한 것으로 경찰 조사에서 나타났다.
한편 경찰은 8억 원대 납품비리 혐의(업무상 배임·횡령)로 A(56)씨 등 대우조선해양 직원 4명과 경기도 소재 납품업체 전무 B(57)씨 등 5명을 구속했다. 또 다른 대우조선해양 직원 4명과 납품업체 직원 2명 등 6명은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잊을 만하면 터지는 대우조선해양 직원들의 공금횡령 사건에 대해 시민 강 모씨는 "한두 번도 아니고 계속해서 똑같은 수법의 공금횡령 사건이 벌어지는데 회사는 도대체 뭘 하고 있는지, 혹 애당초 감사 시스템 자체가 없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마저 든다"며 질타했다.
또 거제시민 문 모씨는 "조선업이 불황이어서 어려움은 똑같은 상황이지만 삼상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은 그나마 회사 오너가 두 눈 뜨고 호황 때 벌어들인 돈을 잘 관리해서 부도위기까지는 내몰리지 않았다는 말이 사실인 것 같다"며 "이번 사건도 따지고 보면 주인 없는 회사라 먼저 보는 사람이 임자라는 기업문화에서 비롯된 것 아니냐. 도덕적 해이를 막는 장치가 꼭 필요하다"고 꼬집었다.